대구시가 그저께 대구경북 신공항 배후도시인 군위 하늘도시 마스터플랜을 공개했다.
군위 하늘도시는 2030년 TK 신공항 개항에 대비해 주거, 상업, 산업, 교육, 의료 등 핵심 인프라를 갖춘 자족형 신도시로 조성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대구시 발표에 의하면 군위 하늘도시는 2단계로 구분 추진하되 2026년 착수해 2045년까지 단계별로 완성하는 것으로 계획돼 있다. 공항이 개항하는 2030년까지 5000세대의 주거단지를 먼저 조성해 여기에는 공항 종사자, 개발에 따른 이주민 등을 수용해 공항 운영의 안정성을 도모하게 된다고 밝히고 있다.
군위 하늘도시의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 1조7400억원, 고용유발효과 1만2700명 등이다.
대구와 경북의 미래 100년을 내다본 신공항 사업에 따른 후속 조치로서 공항 배후도시 건설은 상당히 중요한 기능을 하게 된다. 홍준표 대구시장의 말대로 세계적인 공항은 그 위상에 걸맞은 배후도시와 유기적인 연계를 통해 국가 발전을 선도하고 있다.
공항 배후도시로서 체제를 갖추려면 많은 투자와 준비가 필요하다. 대구시가 앞으로 20년후 최종 완성을 목표로 한 것도 배후도시 조성사업이 그만큼 공을 많이 들여야 하기 때문이다. 대구시의 계획대로 인구 14만 규모의 도시가 공항을 중심으로 생긴다면 대구경북 신공항 사업은 사실상 성공하는 셈이다.
그러나 알다시피 신공항 개항이 목표 연도까지 진행되려면 시간은 촉박하고 넘어야 할 산은 많다. 재원 문제만 해도 그렇다. 대구시가 직접 공영개발하기 위해선 공공자금관리기금 활용이 필요한데, 탄핵정국이라는 돌발사태로 중앙부처와 협의가 정상적으로 이뤄질지 걱정이다.
대구시는 정국이 혼란해도 공자기금 융자신청을 위한 절차는 예정대로 추진하겠다고 밝히고 있지만 그 과정은 지켜봐야 한다.
지금은 국가 비상상태다. 그렇다고 정국이 안정될 때까지 무작정 기다릴 수 없다. 지방정부가 나서 지역현안을 푸는 길을 스스로 열어가야 한다. 비상시국에 맞는 지방정부의 역할을 찾는 지혜가 필요한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