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울릉도 신종어류 2종·미보고 14종 발견…오징어 사라지고, 열대·아열대성 어류 다수

김두한 기자
등록일 2024-12-10 13:34 게재일 2024-12-10
스크랩버튼
(가칭)망둑어과 어류인 '등점복기망둑'./한국해양과학기술원 
(가칭)망둑어과 어류인 '등점복기망둑'./한국해양과학기술원
오징어가 거의 사라진 울릉도·독도 해역이 기후변화로 연안 바다 온도가 상승하면서 열대성 어류 등 국내 미기록, 미보고 어종 다수가 발견됐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은 울릉도·독도 해역에서 국내 미기록종 어류 2종과 기존에 보고되지 않았던 어류 14종을 발견했다고 10일 밝혔다.
 
(가칭)큰금줄얼게비늘./한국해양과학기술원
(가칭)큰금줄얼게비늘./한국해양과학기술원
KIOST 울릉도·독도해양연구기지(대장 김윤배) 김윤배 박사팀은 수산자원생태연구소 명정구 박사, 국립수산과학원 명세훈 연구사 연구팀과 함께 올해 9월부터 11월까지 독도 서도 혹돔굴과 울릉도 남양 물새바위 해역을 생태 조사했다.
 
그 결과 수심 10m 근처에서 열대성 어종에 속하는 망둑어과와 아열대성 어종에 속하는 동갈돔과 등 국내 미기록종 어류 2종을 발견했다.
 
울릉도 바다속./자료사진
울릉도 바다속./자료사진

 이번에 새로 발견된 망둑어과 어류는 ‘등점복기망둑’(가칭)으로, 동갈돔과 어류는 ‘큰금줄얼게비늘’(가칭)로 명명해 학계에 보고할 예정이다. 

 연구팀은 또 지금까지 울릉도·독도 해역에서 볼 수 없었던 14종의 어류를 발견했다고 했다. 이중 금강바리, 가라지속 등 11종은 독도 해역에서는 처음 관찰됐고, 가막청황문절과 호박돔 등 3종은 울릉도에서 처음 모습을 드러냈다.

 
울릉도에서 발견된 열대어 파랑돔. /자료사진
울릉도에서 발견된 열대어 파랑돔. /자료사진

 독도에서 발견된 녹색물결놀래기, 주걱치, 파랑비늘돔, 황안어, 호박돔은 울릉도에서도 함께 관측됐다.

 울릉도·독도 해역에서 처음으로 서식이 확인된 14종 가운데 8종은 열대성 어류고, 나머지는 아열대 및 온대성 어류였다.  이는 해수 온도 변화로 과거와 달리 따뜻한 남쪽 바다에서 서식하는 열대·아열대성 어종이 대거 우리 바다를 찾아오며 해양생태계 변화를 초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번 연구 조사는 해양수산부, 경상북도, 울릉군이 지원하는 ‘독도 현지 조사 활성화 및 전문화 사업’의 하나로 진행됐다.
 
울릉도 근해에서 발견된 열대어 흰꼬리노랑자리돔./자료사진
울릉도 근해에서 발견된 열대어 흰꼬리노랑자리돔./자료사진
 KIOST 관계자는 “해수온의 변화로 과거와 달리 따뜻한 남쪽 바다에서 서식하는 열대·아열대성 어종이 우리 바다를 찾아오며 점차 해양생태계가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이희승 KIOST 원장은 “기후변화 영향으로 빠르게 변하는 우리 바다를 체계적으로 보전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해양환경 및 해양생물자원 조사 연구를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두한기자kimdh@kbmaeil.com

동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