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시 무섬마을의 대표적인 고택인 만죽재와 유물들이 일괄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됐다.
지정된 국가유산은 만죽재 고택 및 항일의병 격문집 등 유물 4건 10점, 해우당 고택 건축물 2동, 해우당 현판 등 유물 5건 8점이다.
만죽재(晩竹齋)는 1666년(현종 7) 병자호란 이후 반남박씨 박수(朴檖, 1641~1729)가 영주 무섬마을에 입향하면서 건립한 고택이다.
360년간 13대에 걸쳐 장손이 집터와 가옥을 유지하며 배치와 평면, 주변 환경을 거의 변형 없이 보존해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이와 함께 혼서지, 호구단자, 승경도, 항일의병 격문집 등 유물도 함께 지정됐다.
해우당(海愚堂)은 무섬마을 선성김씨 입향조 김대(金臺, 1732~1809)의 손자 김영각(金永珏, 1809~1876)이 1800년대 초 건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영각의 아들 해우당 김낙풍(金樂灃, 1825~1900)이 1877~1879년 고택을 중수한 후, 해체나 수리공사를 거치지 않아 원형이 잘 보존된 점에서 가치를 인정받았다.
또, 해우당 및 대은정 현판, 과거 답안지, 갓함, 성주단지 등 관련 유물도 일괄 지정됐다.
이번 지정으로 1990년 경북도 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된 후 30여 년 만에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승격됐다. 영주 무섬마을은 국가민속문화유산 2건,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 2건, 문화유산자료 5건 등 총 7건의 지정 유산을 보유하며 한국을 대표하는 민속마을로 자리매김했다.
박남서 영주시장은 “2013년 무섬마을이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이후 10여 년 만에 반남박씨와 선성김씨의 대표 고택이 국가유산으로 승격돼 큰 자부심을 느낀다”며 “시는 현재 추진 중인 무섬마을 종합정비계획을 포함해 무섬마을 보존과 활용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소중한 고택 유산들을 지속적으로 보존·활용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세동기자 kimsdy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