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매체·다채널’ 콘텐츠 수요 폭증<br/> 道 미래전략산업 육성정책 성과<br/> 양적·질적성장 균형 핵심과제로
경북 문화콘텐츠산업이 약진하고 있다. 문화콘텐츠를 미래전략산업으로 육성하려는 경북도의 정책이 실효를 거두면서 경북-콘텐츠는 이제 단순한 문화상품을 넘어 경북 경제의 신성장 동력이자 소프트파워의 원천으로 자리매김하는 중이다. 높아진 지역 문화콘텐츠산업의 경쟁력은 글로벌 시장에서 수출 상담 실적상승 효과로 나타나고 있다. 경북-콘텐츠가 맞이한 새로운 르네상스의 시대, 양적 성장과 질적 성장의 균형을 찾는 것이 향후 핵심 과제가 될 것이다. 문화콘텐츠산업에 대해 알아본다.
문화콘텐츠산업은 첫째, ‘문화’를 바탕으로 ‘문화적 가치’를 품고 있는 산업이라는 특성이 있다. 문화콘텐츠는 상징적 의미를 창출하고 전달하는 속성을 지닌다. 상징적 의미와 재미 및 표상을 파는 산업이기 때문에 ‘상징산업’이자 ‘감성 기반 산업’이라고도 할 수 있다. 둘째, 문화콘텐츠산업은 국민 삶의 질과 관련된 가치재를 다루는 산업이라는 특성을 갖는다. 문화콘텐츠산업은 절대적 ‘사용가치’를 지닌 문화콘텐츠를 소비자에게 전달함으로써 문화민주주의에 기여하는 효율적인 수단으로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그리고 한편으로는 이러한 문화콘텐츠의 소비가 소비자인 국민의 창의성을 북돋우는 효과를 통해 다시 생산에 반영된다는 점에서 더욱 가치가 높다. 셋째, 하나의 문화콘텐츠는 나라에 대한 이미지를 상승시켜 전혀 다른 부문에까지 영향을 주기도 한다. 한류 현상에 따른 한국 상품의 이미지 상승으로 아시아 지역에서 한국산 전자제품 등의 판매가 증가하고 관광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이 그 대표적인 사례다.
문화콘텐츠산업의 시장 규모는 국내외적으로 빠르게 팽창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의 ‘2022년 상반기 콘텐츠산업 동향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기준 국내 콘텐츠산업 매출액은 126조원으로서 전년 대비 6.3% 증가했으며, 수출액은 115억2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6.2% 증가했다. 또한, 한국콘텐츠진흥원의 ‘2021년 하반기 및 연간 콘텐츠산업 동향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국내 게임산업 매출액은 18조8055억원으로 전년 대비 11.2% 증가했고, 수출액은 86억7287만 달러로 전년 대비 23.1%나 증가했다.
세계적인 다매체·다채널 시대의 도래로 정보통신 인프라가 급속히 확대됨에 따라 콘텐츠에 대한 수요는 폭증 일로다. 세계시장의 규모는 연평균 7% 이상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영화, 음반, 방송영상, 게임산업은 1999년 이후 2022년 현재까지 연평균 22% 이상의 성장률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자동차, 조선, 철강, 석유화학 등 국내 전통산업의 연평균 성장률이 3%대에 머물고 있다는 점과 비교하면 주목할 만한 현상이다.
문화 콘텐츠산업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창작의 바탕인 문화적 요소가 다양하고 풍부하고, 창의적 기획력과 기술력이 우수해야 한다. 또한 문화콘텐츠의 생산, 유통, 소비의 가치사슬 구조에서 자금, 지식과 정보, 인적자원, 유관기관 간의 네트워크, 창의적 융합 환경, 콘텐츠 유통체계 등 기반구조가 뒷받침돼야 한다. 정부의 지원정책과 규제정비 등 정책적 요인도 문화콘텐츠산업의 가치사슬 구조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