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제철소 파트너사 호소문 발표<br/>“단체 행동 강행 땐 생존권 위협<br/> 지역경제 ‘악영향’ 시민도 고통<br/> 대화 동참, 사회적 책무 다하길”
한국노총 금속노련 포스코노동조합이 다음달 2일 파업 출정식을 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포스코 협력사가 자제를 촉구했다.
27일 포항제철소 파트너사협회는 호소문을 통해 “포스코노동조합의 쟁의행위는 포스코와 함께하는 협력사 및 용역사들의 삶의 터전을 무너뜨린다”며 “쟁의행위가 일어나지 않도록 자제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지역 경제의 근간인 철강산업은 중국의 과잉공급과 내수경기 부진 등으로 혹한의 시기를 보내고 있다.
협회는 “포항제철소 파트너사는 냉천 범람 이후부터 현재까지 포항제철소의 위기로 인해 경영에 있어 극한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올해 포항제철소 1제강공장 및 1선재공장의 폐쇄는 파트너사 가족들의 생존을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위기의 시기에 포스코노조 쟁의행위는 포스코 생산에 차질을 줄 뿐만 아니라 고객사들 마저 떠나게 만드는 무책임한 행동”이라며 “파트너사 직원들은 임금이 줄어들거나 고용이 불안해질 것이고, 지역 경제는 악화돼 많은 포항시민들이 고통받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협회는 포스코노조가 쟁의행위에 앞서 조합원의 권리뿐만 아니라 사회적 책무도 고려해 주기를 주문했다.
이들은 “지역사회와 우리 파트너사가 바라보는 포스코는 일반적인 기업과 다르다”며 “우리는 포스코를 지역사회에서 존경받고 사회적 책임을 외면하지 않는 모범기업이라고 생각하고 있다”며 포스코노조의 책임 있는 모습을 기대했다.
그러면서 △쟁의행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포스코와 즉각 대화할 것 △포스코의 사회적 책무를 무겁게 여기고 빠른 시간내 임금협상을 마무리해 줄 것 △포스코 발전을 위한 파트너사, 용역사 직원들의 노력과 헌신을 기억해 줄 것 등을 요구했다.
마지막으로 협회는 “포스코노동조합은 지역사회와 파트너사의 우려의 목소리를 외면해서는 안 된다”며 “파트너사협회는 포스코노동조합이 파업이라는 극단적 선택을 하지 않고 대화의 장에 복귀하기를 호소한다”고 강조했다.
/이부용기자 lby1231@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