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평왕릉은 밤새 내린 서리와 안개에 젖어 천 년 전 역사조차 축축하게 젖어 있는 것 같다. 실제의 사물보다 가까이 있을 수 있다는 경고처럼 이곳은 신이 아니고서는 범접할 수 없는 위엄이 서려 있다.
밤새 호위무사 한 명 없이 저 큰 능에서 벗어나 달밤에 홀로 느티나무와 나무들 사이를 거닐었을까. 삼국사기에 따르면, 진평왕(眞平王)은 태어날 때부터 외모가 범상치 않았고 체격이 컸으며 지혜롭고 의지가 굳고 밝고 활달했다. 키가 11자나 되었으며, 천주사(天柱寺)를 방문했을 때 그가 밟은 돌계단이 한꺼번에 3개나 부러지기도 했다고 하니 대단한 풍채를 지닌 왕이었나 보다. 그러니 무엇이 두려웠을까.
멀리 개 짖는 소리 컹컹 들린다. 늠름했을 그의 위엄이 그 누구도 범접하지 못했을 터, 맞은편 낮은 산 와상부처가 지켜주는데 무엇이 문제인가 하며 들이 울리게 웃음소리 요란했겠다. 진지왕이 왕위에 오른 지 4년 만에 죽은 뒤에 아들이 아니라 조카인 진평이 왕위에 올랐다. 진평왕은 행정조직을 정비해 왕권을 강화했다.
능을 바라보며 서리 내린 잔디를 밟고 서서 왕릉을 바라보는 사이 후배가 도착했다. 함께 선덕여왕길을 걷는다. 경주 숲 머리 길이라고도 부르는 이 길은 진평왕릉에서 명활산성까지 이어진다. 봄이면 겹벚꽃이 풍성한 길이고, 가을은 단풍이 아름답다. 맨발 걷기를 하도록 길을 조성해 산책로로 그저 그만이다. 우리도 잠시 선덕여왕이 되어 걸어본다.
누가 비질을 했는지 걷는 길은 낙엽이 쓸려 있다. 늦가을 정취와 초겨울이 맞닿아 차고 신선하다. 힘들던 시간이 박하사탕처럼 싸하니 입속이 맑아진다. 한동안 안부를 묻지 못했으니 이야기는 많고 길다. 각자 짧든 길든 자신의 생활에 충실하였고 힘들고 벅찬 일들이며 즐거운 개인의 나날이 걸음의 보폭만큼 넓게 좁게 이어진다. 살아있다는 것은 그래서 고마운 것. 나날이 보태져 오늘을 있게 했으니.
앞선 사람들이 먼저 명활산성에 도착했다. 남산성, 선도산성, 북형산성 등과 함께 신라 경주의 동쪽으로 공격해 들어오는 왜구로부터 수도를 방어하는 성곽이고, 유사시 왕성의 역할을 했다. 선덕여왕 때에는 비담 등이 이 성을 거점으로 반란을 일으켰으나, 김유신을 중심으로 한 관군에게 평정되었다고 한다.
돌무더기를 보며 과거의 흔적 일부를 보며 끄덕끄덕 수긍한다. 역사 속 그들은 그 시절의 주인공이다. 이제는 낮은 성곽이 눈에 들어온다. 그것이 최선이었으리라. 이미 흩어진 이름들의 공허와 삶의 잔상이 눈앞에 어른거리고 우리는 돌아서서 진평왕릉으로 다시 왔다.
차에 싣고 온 세상에서 제일 맛나다는 커피 믹스를 종이컵에 담고 뜨거운 물을 붓고는 접이식 의자와 테이블을 꺼내 간단한 브런치와 커피를 즐긴다. 왕릉을 바라보는 오늘과 지금은 더할 나위 없이 중요하다. 왕릉의 고요와 두런두런 삶의 이야기가 하모니를 이룬다.
진평왕릉은 다른 신라왕릉과 달리 산이 아니라 논밭에 둘러싸였다. 산에 자리한 능이 둘레에 소나무가 섰다면 이곳은 물길을 둘렀다. 시냇물 같은 해자가 논과 능을 구분한다. 그래서 경주의 가을 풍경이 고스란히 눈에 들어온다. 이른 아침에 오면 남산을 넘어오는 아침노을을 감상할 수 있고, 저녁이면 해의 긴 그림자가 능 주변을 붉게 서성인다. 사람들의 발길이 넘쳐나는 유적지가 아니라 조용히 가족 단위로 피크닉 바구니를 펼쳐 소소한 소풍을 즐기기에 안성맞춤이다.
왕과 여왕의 이야기들이 풍성한 이곳, 왕릉을 곁에 두고 사는 경주 사람의 복이다. 역사가 가득한 유적지 곁에서 우리는 오늘의 나의 역사를 쌓아가면 된다. 커피가 식는 사이 안개는 걷히고 햇살이 눈부시게 얼굴을 비친다. 오늘 우리의 소풍이 끝나가고 있다. 다시 올 때는 조금 더 왕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고 싶다. 그는 정말 어떤 삶을 살았을까. 오래전 일이라 더 마음을 열고 귀를 기울여야 들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