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사계절 모기

등록일 2024-11-20 18:12 게재일 2024-11-21 18면
스크랩버튼
이정옥 위덕대 명예교수
이정옥 위덕대 명예교수

‘꽁지 닷 발 주둥이 닷 발’이라는 전래동화가 있다. 아들이 서당에 갔다 돌아와 보니 어머니가 죽어 있었다. 동네 사람들이 꽁지 닷 발 주둥이 닷 발 되는 괴물이 어머니를 해코지했다고 알려줬다. 아들은 복수를 결심하고 괴물을 찾아 길을 떠난다. 가는 길에 여러 사람들을 만나서 힘든 일을 해주는 대가로 괴물이 살고 있는 장소를 찾아낸다. 괴물의 집에 숨어 있다가 부엌으로 유인하여 솥 안에 가두고 불을 때어 태워 죽인다. 이 괴물이 죽은 재가 변해 주둥이가 길고 꼬리도 긴 모기가 되었다는 모기의 유래담이다.

베트남의 ‘모기의 기원담’은 또 다르다. 남편의 지극한 사랑을 배신한 부인이 결국 벌을 받아 모기가 된다는 얘기다. 저승까지 함께 가기로 약속한 부부가 결혼 후 오래지 않아 부인이 죽자 망연자실한 남편이 매일 세 번씩 아내의 시체를 안으며 환생을 기원한다. 갸륵한 남편을 위해 부처님은 죽은 아내의 입술에 세 방울의 피를 떨어뜨려 아내를 소생시킨다. 그러나 소생한 아내는 재물에 눈이 멀어 남편을 배신하고 세 방울의 피를 돌려준 뒤 남편을 떨쳐낼 요량이었지만 피를 뽑아낸 후 깨어나지 못한다. 부처님은 아내를 모기로 변신시켜 살게 했다. 또 어떤 나라에는 사냥꾼이 사람들을 괴롭히는 괴물을 해치우고 불로 태우자 괴물의 재가 모기로 변해 사냥꾼을 괴롭혔다는 우화도 있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류가 상상으로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그 어느 때부터 모기는 인간을 괴롭혀온 괴물 같은 존재였음을 알 수 있다.

해마다 여름이 되면 모기와의 전쟁이 시작되고, 이 전쟁은 ‘모기의 입이 삐뚤어진다’는 처서(處暑)가 되면 한시름 놓게 된다. 그러나 이젠 아니다. 지금이 11월, 절기상으로는 ‘소설 추위는 빚을 내서라도 한다’는 소설(小雪)이 내일이다. 그런데도 여전히 모기는 윙윙대며 기승이다. 한여름에나 피우던 모기향을 아직도 켠다. 손주들이 온다고 하면 미리 방안에 모기약을 쳐야 한다. 유난히 모기에 취약한 나는 이 가을과 겨울의 사이, 매일 밤 모기에 물린 손과 발, 팔과 다리, 목과 등, 심지어 얼굴에까지 약을 바르며 긁어대고 산다. 그러고 보니 한여름엔 오히려 모기가 없었던 듯싶다. 더위를 피한 저녁과 새벽녘에 풀을 뽑을 때만 영락없이 독한 풀모기에 물렸을지언정 정작 방안에선 모기에 그다지 물리지 않았다. 폭염이 유난히 길었던 올 여름이었으나 정작 30도 이상의 폭염엔 모기도 너무 더워서 날지 못한다고 한다.

대신 따뜻한 가을이 길어지면서 모기 활동기가 늘어났단다. 낮 기온이 13도 이상 되면 모기들이 흡혈활동을 하는데, 11월의 지난주까지도 낮 기온이 20도 가까웠다. 해마다 11월에 치러지는 수능일, 이젠 ‘수능한파’가 아니라 ‘수능모기’를 걱정해야 한다는 보도도 있었다. 앞으로는 1월 기온 평균 기온이 10도 이상이 될 수도 있다고 한다. 이렇게 되면 연중 모기가 활동할 수 있고, 이는 한여름만이 아니라 사계절 내내 모기와 싸워야 한다는 얘기다. 이 또한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위기 탓이라고 하니 옛이야기 속의 괴물모기 뿐 아니라 지금의 이 모기도 인간이 자초한 것이긴 하다.

이정옥의 신황금기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