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서 열린 ‘경북 서부권 주민설명회’ 가 보니…<br/>취지·이점만 내세운 추진단에<br/>일방적 절차 방식 등 이견 제기<br/>500여 북부권 주민 반대시위도
20일 구미상공회의소 강당에서 열린 대구경북행정통합 경북 서부권 주민설명회는 우려의 목소리로 가득했다.
동부권, 중부권, 북부권 주민설명회에 마지막으로 열린 이날 서부권 설명회에서는 안동·예천·울진·영주·봉화 등 경북 북부지역 주민들 500여 명이 ‘졸속 통합 강력히 반대한다’, ‘TK 통합보다 신도시 활성화가 우선’ 등의 손팻말과 머리띠를 두르고 반대 시위를 벌이기도 헀다.
이들 중 300여 명은 행사장에 들어와 설명회를 듣기도 했다. 구미와 칠곡 등의 서부지역 주민들은 50∼60여 명에 불과했다.
행정통합 경과보고와 취지설명에서 정성현 경북도 행정통합추진단장은 “그동안 대구와 경북은 국책사업과 기업유치에 있어 지나친 경쟁으로 제 살 깎아 먹기를 해왔다. 취수원, 신공항, 군부대 이전 등의 문제도 행정통합이 되면 원만하게 해결할 수 있다”며 “통합이 되면 중앙정부의 권한을 가져오게 돼 기존의 경북도와 대구시보다 더 강력한 권한을 갖게 된다”고 했다.
또 하혜수 경북대 교수는 “통합이 안 돼도 충분히 발전할 수 있다면 굳이 안 해도 되겠지만, 통합이 더 나은 대안이 될 것이기에 추진하는 것”이라며 “행정통합이 과연 우리 지역을 어떻게 좋아질 수 있도록 하는지 관심 있게 지켜보고 요구할 것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철영 대구대 공법학전공 교수가 좌장을 맡아 진행된 자유토론에서는 주민들의 우려 목소리가 컸다.
첫 질문자인 김재우 구미시의원은 “행정구역인 동 하나를 통합하는 데에도 시·도의원과 통·반장, 지역 단체 등의 의견을 수렴한다. 그러한데 경북도와 대구시는 지금 ‘우리는 밀고 간다. 듣고 따라 오라’는 식으로 진행하고 있다”며 “이렇게 통합을 서두르는 이유가 무엇이냐”고 물었다.
이에 조정찬 숭실대 법학과 교수는 “인구소멸 대비 시간이 너무 없다”며 “중앙정부에서 적극적으로 나설 때 하려고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지연 구미시의원은 “통합했는데도 인구 감소가 가속화되면 누가 책임질 것이냐”며 “혜택만 강조하지 말고 주민들이 어떤 결정권을 갖는지, 어떤 이득을 보는지 제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장미경 구미시의원은 “구미는 대표적인 도농복합도시로 구미시와 선산군이 통합되면서 농촌지역은 상대적으로 소외받았다. 이러한 문제점은 대구경북 통합에서 더욱 도드라질 것”이라며 “말로만 생명농업이라고 하지말고 농업인들이 소외받지 않고, 어떤 혜택을 줄 것인지 고민해야 한다”고 했다.
칠곡 주민 장보식씨는 “통합에 대한 좋은 점만 이야기하지 말고, 통합이 되었을 때 나타나는 문제점은 무엇인지에 설명해 달라”고 질문했다.
이에 김영철 계명대 경제통상학부 교수는 “통합이 돼서 좋아지는 점의 속도와 그에 따른 비용의 속도를 봤을 때 비용의 속도가 더 빠르게 올라간다. 하지만, 새로운 변화와 미래 세대를 위한 혁신이라는 점에서 사회적 비용은 충분히 치러야 한다”고 답했다.
행사장에 참석한 북부지역 주민들은 현 경북도청사 문제와 북부지역 활성화 방안 등에 대해 질의했다. 또 일부 주민들은 “이철우 지사와 홍준표 대구시장은 통합을 추진하기에 앞서 대구경북특별시장 불출마 선언을 먼저 해야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김락현기자 kimr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