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생산량 전년 比 11만7000t↓<br/>수요 대비 초과 생산 5만6000t <br/>벼 매입비 4조3000억 지원으로 <br/>20만t 수매 추진 쌀값하락 방어
정부가 쌀 수급 전망, 쌀값 동향 및 수확기 대책 추진 상황 등을 공유하고, 향후 쌀값 안정을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15일 통계청에 따르면 쌀의 최종 생산량은 358만5000t(톤)이다.
지난달 7일 발표한 예상 생산량 365만7000t에 비해 7만2000t, 지난해보다 11만7000t 각각 감소한 물량이다.
수요량을 고려한 2024년산 쌀 초과 생산량은 5만6000t이며, 정부가 추진 중인 시장격리 물량 20만t은 초과 생산량보다 14만4000t 많은 수준이다. 지난 5일 기준 산지쌀값은 18만2700원/80㎏으로 하락폭이 둔화됐으나, 지난해보다 낮은 상황이다. 2024년산 쌀 수급상황은 평년보다 좋지 않은 작황과 생산량 감소, 초과량 이상의 정부 시장격리, 피해벼 매입 등에 따라 빠듯한 상황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정부는 시장격리 및 공공비축미 56만t과 피해벼 매입, 산물벼 8만t 인수를 연말까지 완료한다는 목표 하에 최대한 신속하게 추진할 계획이다.
쌀값이 상승세로 전환되고 상승폭도 확대될 수 있도록 농업인, 산지 및 소비지 유통업체, 온라인 플랫폼 등과 수급상황에 대한 소통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산지유통업체의 저가판매에 따른 시장교란 행위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점검·관리하고,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의 부정유통 단속도 당초 계획보다 한달 연장해 연말까지 집중 단속할 계획이다.
지난 11일 농협 대책 발표로 벼 매입자금을 지난해보다 9000억원 증가한 4조3000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산지유통업체가 지원받은 벼 매입자금에 상응하는 의무 매입물량을 연말까지 매입 완료할 수 있도록 지도를 강화할 계획이다.
농식품부 박수진 식량정책실장은 “구조적 공급과잉 문제를 반복하지 않도록 벼 재배면적을 조정하고 품질 위주의 생산체계로 전환, 신규 수요 창출 등의 내용을 포함한 ‘쌀 산업 근본대책’을 이달 중으로 마련해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부용기자 lby1231@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