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어린 고래의 눈물

등록일 2024-11-13 18:56 게재일 2024-11-14 17면
스크랩버튼
윤명희 수필가
윤명희 수필가

잔디를 비집고 올라온 잡초를 뽑는다. 남편은 말없이 포와 과일로 간단한 상을 차린다. 오늘은 아버지의 봉분을 흠뻑 적실 술을 두병이나 준비했다. 잔을 채운 술이 넘쳐흐른다.

어릴 적 나는 제삿날만 되면 불안했다. 그날이 오면 일부러 바깥에서 오래 시간을 보냈다. 어스름한 시간에 대문을 들어서면, 마루 끝에 술 취한 아버지가 먼저 보였다. 제사음식 준비를 끝낸 엄마는 부엌에서 서성거렸고, 동생들은 방에서 불도 켜지 않은 채 숨죽였다. 나는 저녁밥도 거른 채 아버지의 눈을 피해 내 방으로 들어갔다. 열시가 넘어가자, 제주(祭酒)를 든 삼촌이 들어섰다. 삼촌을 본 아버지의 코끝이 실룩거렸다.

동경에서 태어난 아버지는 할아버지의 5남 1녀 중 셋째 아들이다. 형이 둘이 있었고 맨 위로 누나가 있다. 아버지가 아홉 살 되던 해, 해방이 되었다. 공부하는 두 형을 동경에 남겨둔 채, 할아버지는 나머지 식구들을 데리고 대구 칠성동으로 터전을 옮겼다.

현해탄 길에서 열감기로 아래동생을 잃고, 막냇동생만 남았다. 낯선 곳에 익숙해질 틈도 없이 누나가 멀리 시집을 가고, 어린 아버지는 어머니를 병으로 잃었다. 이별은 급물살로 휘몰아쳤다. 어머니를 잃고 일 년도 지나지 않아 아버지까지 돌아가셨다고 한다. 세 살 박이 막내의 엄마 찾는 소리만이 집안을 떠돌았다. 장례 치르러 온 큰형은 해야 할 공부가 남았다며 작은 형과 동생들을 남기고 다시 일본으로 갔다. 아버지는 작은 형의 옷자락을 놓지 않았다. 온 식구가 동경에 살았을 때, 형들은 언제나 든든한 파수꾼이었다. 합기도를 잘하는 형들이 있어 조센징이라고 놀리는 일본 아이들도 함부로 하지 못했다. 마지막 버팀목인 작은형마저 떠날까 불안한 나날이었다.

그러던 어느 밤, 어린 아버지는 대문 흔드는 소리에 잠이 깼다. 마당이 달빛으로 환했다. 대문 두드리는 소리가 다시 들렸다. 아버지는 문턱에 서서 파자마와 흰 러닝셔츠차림인 작은형의 뒷모습을 내다보았다. 대문 여는 소리와 동시에 형의 외마디 비명소리가 들렸다. 건장한 남자들에게 끌려가는 형을 보았다. 대문 앞에 떨어진 형의 신발 한 짝을 손에 든 아버지의 우는 소리가 골목을 뒤흔들었다. 그 소리에 깨어난 막내의 울음소리가 마당까지 따라 나왔다. 작은형은 그렇게 꿈처럼 사라졌다. 이별의 무게에 눌려 숨도 쉴 수 없었다. 갑자기 홀로 남겨진 아이는 어른이 되는 법을 배우지 못했다. 아무도 가르쳐주는 이가 없이 혼자서 어른이 되고, 아버지가 되었다.

내가 일곱 살 무렵이었다. 우리 집에 소포꾸러미가 배달되었다. 아버지의 큰형, 한 번도 보지 못한 나의 큰아버지 이름이었다. 꾸러미에는 옷, 양말, 생필품들이 가득했고, 그 사이에 사진 한 장이 있었다. 그토록 기다렸던 큰형이 사진으로 왔다. 사진 속 큰형의 가족은 아이까지 모두 정장차림이었다. 그들이 웃고 있었다.

아버지는 아무 말 없이 그것들을 쓰레기장에 처박아 버렸다. 세파를 혼자 헤쳐 나온 아버지는 그 사진에서 버려진 자신을 본 것은 아닐까. 돌아가시는 날까지 형의 이야기는 입에 담지 않았다. 그날 이후로 아버지는 제사 모시는 시간에 집착하기 시작했다. 할아버지 할머니가 일본에 사는 형 집에 가기 전에 먼저 제사를 지내야 한다고 했다.

밤 11시가 되면, 벽에 기댄 채 꼼짝도 하지 않던 아버지가 급하게 일어섰다. 제사상을 차리고 지방까지 써 붙였다. 나는 얼른 빨랫줄을 걷고 대문을 열었다. 삼촌은 전깃불을 끄고 촛불을 켰다. 할아버지 할머니 앞에 선 아버지의 얼굴이 곧 울음이 터질 기세였다. 절을 할 때마다 이마를 손등에 댄 아버지는 일어서지 못했다. 일어서던 삼촌이 다시 엎드려 곁눈질로 언제 일어나야 하는지를 살폈다. 아버지의 등이 한참동안 들썩거렸다. 아버지는 해마다 제삿날이 되면 종일 술에 취해있었다. 눈물로 할아버지 할머니께 어린 동생들을 유기한 큰형을 일러바치던 그 날은 막냇삼촌을 차마 바라보지 못했다. 내가 큰아버지의 가족조차 뵐 기회는 끝내 오지 않았다.

세 살짜리 어린 동생의 손을 잡고 험난하고 외로운 항해를 해야 했던 어린고래는 얼마나 무서웠을까. 이제야 뒤늦게 아홉 살의 아버지를 가슴으로 깊이 껴안는다. 남은 술을 병째로 봉분에 부어드린다. 오늘은 실컷 드시고 취해도 괜찮다. 봉분에 볼을 대고 가만히 쓸어안는다. 볼에 닿는 잔디가 아버지 수염처럼 깔끄럽다.

Essay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