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와 경북도가 대구경북 행정통합에 대한 주민 설명회를 본격화하고 있다.
대구는 지난 1일부터 구군별 설명회를 가진 데 이어 민간단체 대상 설명회도 연다. 경북은 7일 포항을 시작으로 경산, 안동, 구미에서도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기관단체, 일반시민 대상의 설명회를 통해 행정통합의 필요성과 기대효과, 특별법의 주요 내용 등을 소개하고 이를 통해 시도민의 공감대를 넓히는데 주력한다.
대구와 경북의 통합은 수도권의 비정상적인 일극체제에 대응해 지방도 골고루 잘사는 도시로 만들고, 나아가 국가 균형발전을 통해 지방소멸의 문제도 해결하자는 데 목적이 있다. 지금처럼 수도권에 경제와 행정, 정책이 집중되면 지방은 머지않은 장래에 공멸할 수 밖에 없다.
이미 국토면적의 12%에 불과한 수도권에 인구의 절반 이상이 모여 사는 양극화는 극에 달한 상황이다. 지방자치단체가 힘을 모아 대한민국 행정체제의 대개편을 시도하지 않으면 지방은 망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이와 관련, 이철우 도지사는 8일 시장군수 간담회에서 “통합은 더 큰 권한과 재정으로 어느 지역도 손해보지 않고 균형발전을 촉진할 것”이라며 시군지역의 협조를 당부했다.
그러나 지방소멸과 저출생 극복을 위해 통합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을 하면서 지역의 입장이 서로 달라 반대 목소리도 적지 않다. 안동시와 시의회는 통합 반대 성명을 냈다. 안동시는 시도민의 동의없는 행정통합에 반대한다는 시민궐기운동도 펼치기로 했다.
대구경북의 미래를 건 대역사를 시도하는데 반대 의견이 없을 리 없다. 반대 목소리를 경청하고 대의(大義)를 위한 지혜를 모아야 한다. 시도민이 공감하는 통합안을 만드는 데 심사숙고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부산·경남도 경제수도를 목표로 행정통합에 시동을 걸었다. 자치권과 재정권을 가진 강력한 지방정부를 선택하는 것이 지방생존 전략이라는 데 동의한 것이다.
통합의 장밋빛 전망만 설명할 게 아니라 지역의 미래를 위한 확실한 선택임을 믿게 해야 한다. 반대 목소리도 경청하며 침착하게 문제를 헤쳐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