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점검회의’ 개최<br/>제2금융권·지방·인터넷 은행 등<br/>증가세 점검 다양한 조치 검토중
금융위원회는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23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은행권의 가계대출 자율관리 강화로 인해 풍선효과가 우려됨에 따라 제2금융권 및 지방은행·인터넷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세를 점검·관리하는 차원에서 마련됐다. 기획재정부, 행정안전부 등 관계부처와 전 금융권 협회, 대구·부산·경남 등 지방은행, 인터넷은행 3사 등이 참석했다.
이날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미국 연준의 기준금리 빅컷(9월19일, △50bp),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10월11일 △25bp) 등 글로벌 기준금리 피벗이 진행되며 가계부채 증가 압력이 누증되고 있는 상황인 만큼 9월달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됐다고 봤다. 아직은 긴장을 늦출 때가 아님을 다시 한 번 명확히 했다. 특히 참석자들은 시장의 추가적인 금리인하 기대감에 따라 주택 구매 수요가 다시금 확산될 수 있는 상황에서는, 자칫 가계부채 관리를 조금만 소홀히 해도 언제든 증가세가 확대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가계부채 비율의 하향 안정화 추세가 확실해질 때까지는 지금과 같은 엄격한 관리기조를 유지해 나가야 할 필요성이 크다는 점에 뜻을 모았다.
이날 회의를 주재한 금융위원회 권대영 사무처장은 “금융당국은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의 하향 안정화와 상환능력(DSR) 범위 내에서 빌리고(빌려주고), 처음부터 나눠 갚는 대출관행 정착을 위해 일관되고 확고하게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9월 이후 은행권 스스로 가계대출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는 과정에서 대출 수요가 다른 업권으로 옮겨갈 수 있으나, 보험·상호금융 등 제2금융권과 지방은행, 인터넷은행에서 가계부채 관리강화 기조에 맞지 않는 공격적 영업 행태를 보이는 것은 다소 문제가 있다고 했다.
이어 권 사무처장은 “각 업권별 가계부채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풍선효과가 커지는 것에 대비하여 다양한 관리조치를 검토중이다”며 “은행권에서 충족되기 어려운 다양한 자금수요나 중·저신용자에 대한 자금공급 등에 차질이 없도록 본연의 역할에 보다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부용기자 lby1231@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