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렴·간편하게 식사 해결 가능<br/>외식수요 흡수하고 있는 것으로
고물가 현상이 지속된 최근 2년간 50~60대 시니어 고객의 편의점 매출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23일 상품 데이터 분석기관 마켓링크의 편의점 4사(전국 1500개 점포) 대상 ‘2024 상반기 편의점 매출동향’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대의 올해 상반기 매출액은 2022년 상반기 대비 11.5% 감소했다. 50대는 같은 기간 18.3%, 60대는 21.4% 증가했다.
고물가로 외식비 부담이 커지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간편하게 식사를 해결할 수 있는 편의점이 외식수요를 흡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올 상반기 식사대용식 매출액은 2년 전 같은 기간에 비해 17.6% 성장했다. 동기간 전체 편의점 매출은 3.6% 성장하는데 그쳤다.
대용식 중에서도 라면(24.7%), 국·탕·찌개류(23.4%), 도시락·즉석밥류(21.6%)의 매출 증가율이 높았다. 이에 따라 편의점 주요업체들은 점보 도시락이나 대용량 컵라면 등을 저렴한 가격에 출시하며 가격에 민감한 외식 수요층을 적극적으로 공략하고 있다.
대한상의는 “물가상승으로 밥값 부담이 커지면서 식당 대신 편의점에서 식사를 해결하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며 “최근 1~2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편의점에서 레스토랑 간편식 상품이 큰 인기를 끄는 등 편의점이 외식을 대체하는 하나의 채널로 자리 잡고 있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이후 홈술(집에서 마시는 술) 트렌드가 늘면서 편의점 주류 트렌드도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편의점에서 올해 상반기 주류 매출은 전체 매출(담배 제외)에서 19.3%를 차지하는 주력 품목이다.
2022년 상반기 대비 올해 상반기 편의점 주류 매출 변화를 보면 위스키를 포함한 양주가 18.4%, 전통주 매출이 13.6% 증가했다. 반면, 맥주와 소주 매출은 각각 3.9%, 1.8% 증가하는 데 그쳤고 와인은 33.0% 급감했다. 최근 주류 시장에 불고 있는 하이볼과 로컬 전통주 유행 현상이 반영된 결과다.
또한 편의점 매출 성장률이 2022년 상반기 대비 올해 상반기 3.6%에 그치며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는 만큼 편의점 제품 카테고리를 확장하고, 세대별 특화상품 개발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국내 편의점 시장이 포화에 이르면서 해외진출로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고 밝혔다. 이미 몽골,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지에서 1,000여 개가 넘는 편의점이 운영되는 등 편의점 업계는 해외진출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부용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