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축산부 “출하지역 경북·충북 등 확대 가을배추 작황도 회복세”<br/>출하량 늘어날 전망 도매가도 하락세… “무·시금치도 안정될 것”
배추 도매가격이 하락세를 보이면서 10월 하순부터 가격이 안정될 것으로 보인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양파, 대파, 양배추, 사과, 포도 등은 좋지 않은 생육 여건에도 불구하고 공급량이 충분한 상황이라고 22일 밝혔다.
10월 중순 기준 도매가격을 살펴보면, 지난해보다 양파 10.3%, 대파 30.2%, 양배추 10.6%, 사과 24.2%, 포도 44.6% 낮은 상황이다.
반면 배추, 무, 토마토, 오이, 애호박, 상추 등은 지난 8~9월 지속된 고온과 9월 20~21일 집중호우로 공급량이 감소해 지난해보다 가격이 높은 상황이다.
배추는 강원 평창, 횡성, 강릉 등에서 준고랭지 2기작이 주로 출하되고 있으나, 아주심기(정식) 기간인 8월 초순부터 결구기인 추석 이후까지 지속된 고온으로 10월 중순까지는 출하량이 다소 적었다.
다만, 10월 하순부터는 출하 지역이 경북, 충북 등으로 확대되고, 해당 지역 가을배추 작황도 초기 생육 부진을 극복하고 회복되는 추세이므로 출하량도 현저히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도매가격도 9월 중순 정점 이후로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다.
무는 여름무 재배면적 감소와 폭염 등 영향에 배추 대체 수요까지 더해져 가격이 전·평년보다 강세를 보이고 있으나, 10월 들어 기온 등 생육 여건이 좋아져 작황이 회복세이며, 김장철에 사용되는 무가 본격적으로 출하되는 11월부터는 가격도 안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시금치는 추석 이후 수요 둔화로 가격 하락세이며, 향후 출하지역이 경북 포항 등으로 확대되면 더욱 안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농식품부는 “앞으로 급격한 기온 변화나 일조 부족이 원예농산물 수급 여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본다”며 “이상 기상에 대비한 비상 대응체계를 유지하면서 농업인을 대상으로 병해충 방제 기술 자료 배포, 농작물 안전 관리 요령 안내 등 생육 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부용기자 lby1231@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