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전기차 배터리 안정성, 정부가 직접 인증한다

이부용기자
등록일 2024-10-15 18:08 게재일 2024-10-16 6면
스크랩버튼
국토부 내년 2월 ‘배터리 인증제’ 도입 앞두고 이달부터 시범 사업<br/>현대·기아·그린모빌리티 등 5개 업체 참여… 화재 안전관리 강화

국토교통부가 이달부터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을 정부가 직접 인증하는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 시범사업을 실시한다.

배터리 인증제는 전기차 안전성을 제고하기 위해 전기차에 장착되는 배터리의 안전성을 정부가 사전에 직접 시험하여 인증하는 제도로서, ‘자동차관리법’ 개정에 따라 내년 2월 시행을 앞두고 있다.

이는 지난 2003년 제작자 스스로 자동차가 안전기준에 적합하게 제작됐는지 여부를 확인해 판매하는 자기인증제도를 시행한 이후 20여 년 만이다. 전기차의 안전성을 보다 강화하기 위하여 정부가 직접 전기차 배터리의 안전성을 확인하는 체계로 전면 전환을 추진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6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전기차 화재 안전대책’을 발표했다. 주요 내용은 배터리 인증제, 배터리 정보공개, 배터리관리시스템(BMS) 안전기능 강화, 배터리 검사항목 확대 및 배터리 진단기 등 검사 인프라 확충, 배터리 이력관리제 등이다.

이에 따라 이달부터 배터리 인증제 시범사업을 통해 배터리 인증제를 조기에 안착시켜 전기차 안전성의 핵심 요소인 배터리 안전관리를 강화할 예정이다.

이번 배터리 인증제 시범사업에는 업계 수요조사 결과 △현대, 기아(승용차 배터리) △그린모빌리티, 대동모빌리티, LG엔솔(이륜차 배터리) 총 5개 업체가 참여한다. 국토부,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 참여업체 간 시범사업을 실시하기 위한 상호 업무협약을 15일 체결하고 본격적인 배터리 안전성 시험에 착수한다.

배터리 안전성 시험은 ‘자동차관리법’에 따른 성능시험 대행기관인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에서 총 12개 시험항목에 대해 진행한다.

국토부 백원국 제2차관은 “배터리 인증제는 전기차 안전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배터리 인증제가 조기에 안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부용기자 lby1231@kbmaeil.com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