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국립금오공대, ‘세계 2% 최상위 연구자’5명 선정

김락현기자
등록일 2024-10-07 14:18 게재일 2024-10-08 13면
스크랩버튼
좌측부터 김준식, 박철민, 신수용, 장의순 교수, 판차나단 연구원. /국립금오공대제공
좌측부터 김준식, 박철민, 신수용, 장의순 교수, 판차나단 연구원. /국립금오공대제공

국립금오공과대학교 교수 4명과 연구원 1명이 ‘세계 최상위 2%’에 속하는 연구자에 선정됐다.

세계 최상위 2% 명단에 이름을 올린 연구자는 △기계시스템공학부 김준식 교수 △신소재공학부 박철민 교수 △전자공학부 신수용 교수 △화학생명과학과 장의순 교수 △의생명나노화학연구실 판차나단 마니바사간(Manivasagan, Panchanathan; 인도) 연구원이다.

장의순 교수는 판차나단 연구원의 지도교수로, 사제지간이 동시에 상위 2% 연구자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세계 최상위 2% 연구자’는 세계 최대 학술정보 출판사이자 분석기업인 엘스비어(Elsevier)가 최소 5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한 전 세계 연구자 가운데 논문 피인용도에 따른 영향력을 기준으로 매년 발표하고 있다.

김준식 기계시스템공학부 교수는 비선형 유한 요소 축소법과 헬리콥터 블레이드 동역학 등 응용역학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 성과를 이뤄낸 전문가로 다수의 학술상을 수상하며 그 권위를 인정받았다.

박철민 신소재공학부 교수는 최근 우수한 안정성과 더불어 세계 최고 성능의 불타지 않는 전고체전지를 개발해 주목을 받았다. 관련 연구는 에너지 분야 최정상급 국제 학술지인 줄(Joule)에 9월 13일자로 게재된 바 있다.

신수용 전자공학부 교수는 차세대 무선 통신, 무인 자율 이동체, 양자 컴퓨팅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통해 현재까지 SCIE 논문 140여 편, SCOPUS 40여 편, 국내학술지 30여 편을 출판했으며, SCOPUS를 포함해 총 5638건의 피인용도를 달성했다.

장의순 화학생명과학과 교수는 금 나노막대 복합체를 활용한 비가역적 전기 천공기술 개발 관련 연구로 면역항암제 효과가 낮은 췌장암 등의 치료를 위한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관련 연구는 지난 7월 저명 학술지인 ACS Nano 표지 논문으로도 선정된 바 있다.

장의순 교수가 지도교수로 있는 판차나단 연구원은 장 교수와 함께 금속 및 금속산화물 나노입자의 다중 광 치료효과를 활용해 다제내성 박테리아 및 암을 치료하는 기술과 관련한 연구를 이어오고 있다. 관련 연구는 재료분야 최정상급 국제 학술지인 PMS(Progress in Materials Science)에 지난 4월 6일자에 제1저자로 게재된 바 있다.

/김락현기자 kimrh@kbmaeil.com

중서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