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포시랍다는 말, 내게 하지마

등록일 2024-10-06 19:12 게재일 2024-10-07 17면
스크랩버튼
이희정시인
이희정시인

아버지의 나라에서 가장 빛나는 말

포시랍다는 말

포시랍다는 말

입안에서 이리저리 굴리다보면

포슬포슬 고운 먼지가 일어날 듯하고

보드라운 솜사탕 한입 먹은 듯

몽글몽글 뭉게구름 하얗게 피어나

머리끝이 거꾸로 선다

포시랍다는 말의 온기로

그 말의 사랑으로

그 말의 넉넉함으로

나는 여전히 철딱서니가 없고

어느 날 포시랍다는 말,에서

강제 추방당하고 나니

그 속에 든 사랑과 온기와 배려와

부드러움에게마저 추방당해

나는 세상 물정 모르는

가장 포시라운 사람이 되었다

―배영옥,‘포시랍다는 말’전문(‘백날을 함께 살고 일생이 갔다’, 문학동네)

저녁이면 비스듬히 열어둔 창문 틈새로 스미는 바람이 차다. 어느새 극세사 보드라운 올들이 그리운 계절이 온 것이다. 형용사 ‘포시랍다’는 말을 손가락 끝에 올려두고 굴려본다. ‘곱게 자라 철딱서니가 없다’는 뜻의 경상도 사투리라고 한다. 조심조심 만져야 하는 말이다. 왠지 함부로 해선 안 될 것 같은, 부서질 것만 같은, 어린 새의 깃털 같은 여린 것들이 떠오르니 말이다. 1999년 매일신문으로 등단해서 2018년 지병으로 소천한 배영옥 시인을 생각하면 포시랍다는 말이 생경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조용하고 수더분한 느낌에 더해 매사에 조심스러워 무슨 잔치나 행사 같은 데서 모두들 입장한 다음에 슬그머니 들어와 혼자 뒷전에 가만히 앉는 사람 같은, 아니 제일 먼저 들어왔는데도 큰 기척 없이 맨 나중에야 일어서는 사람 같은 분위기를 풍기는, 조용하지만 명랑하기도 해서 격정을 가졌으면서 누르고 있는 듯한 느낌을 주는 사람”이었다고 이영광 시인은 그이의 유고 시집 ‘백날을 함께 살고 일생이 갔다’의 발문에 기록하고 있다.

이처럼 ‘포시랍다’는 말은 어쩌면 시인을 닮았으리라. 시인은 ‘포시랍다’는 말이 “아버지의 나라에선 가장 빛나는 말”이라고 했다. 스무 살에 어머니를 떠나보내고 마음의 병으로 몸의 병을 불러내어 시를 쓰면서 자신과 조금씩 화해를 하기 시작했다는 시인의 시편을 조심조심 입술로 굴려본다.

조심조심(操心操心)이라는 한자어를 풀어보면 “실수가 없도록 마음을 쓰는 모양”이다. 더하여 잡을 조(操)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나무목 글자 위에 입구가 셋이다. 이것은 나무 위에서 모이를 기다리는 아기 새의 입 모양을 닮았다. 그러니 어찌 조심스럽지 않겠는가. 아기새는 꽉 쥐면 다칠 것이고, 새의 알이라면 부서지거나 조심성 없이 헐겁게 쥐면 떨어뜨리게 되기 쉬우니 말이다.

아버지의 나라에선 누구든 그랬다. “포시랍다는 말의 온기로 / 그 말의 사랑으로 /그 말의 넉넉함으로” 철이 없어도 다치지 않았고 철딱서니 없다는 이유로 해치지 않았다. 하지만 포시랍다는 말에서 강제 추방되고 보면 시인의 말처럼 “그 속에 든 사랑과 온기와 배려와 / 부드러움에게마저 추방당해 / 세상 물정 모르는 / 가장 포시라운 사람이”된다. 둥지를 잃고 빠져나온 세상이라는 곳은 녹록지 않다. 철딱서니란 둥지를 떠나고 나서야 깨닫게 되는 포시라움인 것처럼.

그러나 생전의 시인은 혼자의 몸으로 쿠바라는 애인과 8개월 동안 열애를 한 일이 있다. 단 한 번도 한국을 떠나본 적이 없는 그녀를 세상물정을 모른다며 친구들은 걱정했지만 체 게바라와 생일이 같다는 억지 이유를 들어가며 기어이 쿠바와 조우했다.

‘포시랍다’는 말만으로도 포시라워지는 시다. 그러니까 이 시는 이른 나이에 찾아온 병마라는 소용돌이 속에서 끝내 황폐해지지 않은 시인에 대한 포시라움을 다루고 있다. 결국 사람은 그 자신의 운명이다. 어쩌면 ‘포시랍다’는 그렇게 말하는 시인지도 모른다.

“내가 끝내 영원으로 돌아간다 한들 아무도 나를 탓하지 않으리라. 훗날 네게만 말해 줄게”(2018년 작가의 말)

이희정의 월요일은 詩처럼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