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3월 8일 굴착 작업 중<br/> 지하 200m 분출 가스로 조성<br/> 잔여 가스 모두 소진되고 나면<br/> 명맥 이을 불꽃 표현 방법 구현
포항시는 철길숲 명소인 ‘불의 정원’ 천연가스 불꽃이 7년 6개월 20일 만인 지난달 27일 꺼졌다고 밝혔다.
<본지 9월 30일자 7면 보도>
불의 정원은 2017년 3월 8일 폐철도부지 도시숲 조성에 따른 지하수 관정 굴착 작업 중 지하 약 200m 지점에서 분출한 천연가스에 의해 발화한 불꽃에 의해 조성됐다.
철길숲 공사 현장에서 천연가스에 의한 불기둥이 치솟자 포항시와 포항남부서, 한국가스안전공사 등에서 진화를 시도했으나 자연적으로 소화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전문가 자문을 받고 불꽃이 꺼질 때까지 지금의 ‘불의 정원’을 조성해 현재에 이르렀다.
불꽃을 중심으로 굴착기와 현장을 보존하며 주변에 높이 2m의 방화 유리를 설치했고, 가스분출 과정을 담은 안내판과 야간 경관조명을 설치해 국내에서 보기 힘든 특색있는 공간을 연출했다.
2021년 1월 이후 기온이 떨어지고 가스 압력이 약해지며 간헐적으로 불꽃이 꺼졌다가 재점화하는 일이 있어 불꽃이 꺼지더라도 잔여 분출 천연가스가 있으면 자동으로 점화시키는 자동점화장치를 설치하기도 했다.
시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과 석유가스연구센터에 ‘포항철길숲 천연가스층 조사 연구’ 용역을 의뢰한 결과, 불의 정원 하부 사암층에 포항시민이 1개월간 사용할 수 있는 양인 약 2만 2113t의 메탄가스가 매장돼 있으며 향후 5~10년간 가스가 분출되다 소멸할 것으로 추정했다.
한편 시는 오랜 시간 포항철길숲의 랜드마크가 돼준 불의정원의 불꽃이 꺼진 것을 아쉬워하는 시민들을 위해 잔여 가스 분출 추이를 지켜보다 가스가 모두 소진되고 나면 불의정원의 다양한 대체 활용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불의 정원에 미량이지만 가스가 배출되고 있어 잔여 매장량이 있다고 보고 상황을 신중하게 지켜보는 한편, 향후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다양한 형태로 불꽃을 표현하는 방법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석윤기자 lsy72km@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