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고분군 세계유산 통합관리기구 유치를 위해 고령군민들이 직접 나선다.
고령군은 세계유산 통합관리기구 유치 범군민 추진위원회를 구성해 본격적인 유치운동을 펼칠 계획이다. 특히, 학계전문가와 당연직 공무원으로 유치위를 구성해 통합관리기구용역의 오류를 알리고, 지자체간의 형평성 있는 협의가 이뤄질 수 있도록 목소리를 내기로 했다.
가야고분군의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첫 걸음은 10여년 전인 2011년 경북도와 고령군의 주도로 시작됐다. 당시 고령 지산동 고분군의 세계유산 등재는 모든 군민의 염원이었다. 이에 고령군은 지산동 고분군을 비롯한 대가야의 핵심유적을 대상으로 가야역사문화유적의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준비를 시작했다.
고령군은 가야고분군과 같은 연속유산은 통합관리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는 세계유산협약에 따라 ‘가야고분군 세계유산 통합관리지원단’에서 통합관리기구 설립 및 운영방안 연구용역(통합기구용역)을 수행했으나 인구규모, 지방세, 재정자립도 등 가야고분군 통합관리기구(통합관리기구)의 역할 및 기능과 관련없는 지표를 근간으로 입지선정 결과가 도출되면서 신뢰성이 결여됐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에 따라 고령군은 지난 7일 경북도와 함께 국가유산청을 방문, 통합관리기구의 고령군 유치 타당성에 대해 설명하고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통합기구용역의 신뢰성 문제에 대한 의견을 전달했다. 또 통합관리기구 설립은 가야고분군 통합관리지원 업무협약서에 따라 10개 지자체간 협의사항임을 분명히하고 협의가 원만하게 이루어지도록 중재해 줄 것을 건의했다.
이날 국가유산청은 통합관리기구 설립은 국가유산청이 개입 또는 결정할 사안이 아니라 지자체 협의사항으로 일련의 연구용역이 향후 통합관리기구 설립에 있어 구속력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또한 국가유산청은 빠른 시일 내에 통합관리기구 설립 논의를 위한 회의를 소집해 지자체간 충분한 협의가 이루어지도록 하겠다며 향후 계획을 전했다.
아울러 고령군은 28일 국회를 방문해 가야고분군 최대규모(가야고분군 전체 유산구역 중 44%)이자 유구한 역사적 가치를 자랑하는 지산동 고분군이 소재하는 고령군의 통합관리기구 유치 타당성에 대해 설명하고, 가야역사문화의 지역균형적 관심과 지원을 건의했다.
고령군의회도 지난 27일 임시회를 열어 연구용역 결과를 받아들일 수 없음을 밝히고 통합기구용역의 결과 철회와 일부지역에 편중된 가야문화권에 대한 관심과 지원의 지역균형을 촉구하는 결의문을 채택해 힘을 보태고 있다.
이남철 군수는 “가야고분군 통합관리기구는 세계유산협약에 따라 연속유산의 통합관리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과 효율적인 운영방안에 대해 깊이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며 “그러기 위해서는 용역결과를 객관적인 자세로 검토해야하며, 10개 지자체의 충분한 논의와 협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전병휴기자 kr5853@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