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포항역 인근 35개 업소 운영
한국의 성매매 집결지(사창가)는 지난 2004년을 기점으로 큰 변화에 직면한다. 그해 성 매수자에 대한 형사 처벌규정을 대폭 강화한 ‘성매매방지특별법’이 시행됐다.
어지간한 도시마다 한두 개쯤 존재했던 성매매 집결지에 관한 철거와 정비가 진행됐고, 성매매 여성들이 새로운 직업을 찾아 자립할 수 있도록 행정적 지원도 이어졌다. <관련기사 4면>
성매매에 대한 대중의 인식도 빠른 속도로 바뀌어갔다. ‘금전으로 인간의 몸을 사고파는 건 범죄’라는 법률 규정을 받아들이기 시작한 것이다.
올해는 성매매방지특별법이 시행된 지 20년이 되는 해다. 그간 한국의 대표적 성매매 집결지로 불리던 강원도 춘천시 장미촌, 강원도 동해시 동해부산가, 강원도 춘천 난초촌, 부산시 범전동300번지 및 해운대 609번지, 인천시 숭의동 옐로하우스, 대구시 자갈마당, 서울시 청량리 588 등이 줄줄이 폐쇄됐다.
그렇다면 포항의 경우는 어떨까? 옛 포항역 인근 일명 ‘중대’로 불리는 성매매 집결지엔 아직도 약 35개 업소가 운영되고 있다. 바로 지척에 69층 규모의 주상복합단지가 건설될 예정임에도 포항시는 성매매 집결지를 사업 대상 구역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본지는 한동대학교와 공동으로 현장 취재를 통해 포항 성매매 업소 현황을 파악하고, 관련 지역협의체와 ‘성매매 집결지 정비TF’가 구성됐음에도 ‘성매매 집결지 폐쇄’라는 전국적 흐름에 포항시가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못하는 이유를 알아봤다.
/홍성식기자 hss@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