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달 경주시가 2025년 제32차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에이펙) 정상회의 개최 도시로 최종 선정됐다는 반가운 소식을 접하자 28년 전의 일이 떠올랐다.
1996년, 위덕대학교 개교 원년, 3월에 개교하고 5월경이었다. 신생학교를 알릴 홍보 방법이 없을까를 고민하던 중이었다. 그 해 설립되어 태국의 방콕에서 열렸던 아시아 유럽 정상회의(Asia-Europe Meeting: ASEM, 아셈)가 제3회 회의를 대한민국에서 개최하기로 결정, 경주를 비롯한 여러 도시가 아셈 유치 경쟁을 한다는 뉴스를 접했다.
무릎을 탁 쳤다. 이것이로다. 위덕대가 있는 경주시를 위한 일이면서, 학교도 홍보할 수 있는 좋은 기회다. 당시 위덕대에는 학생은 1학년 400명밖에 없었으나 학생회와 동아리도 있었다. 학생회장 등 지도동아리 학생들은 선배가 없어 심심하던 차였다.
시민과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아셈유치서명운동을 하쟀더니 좋다며 신나했다. 서명지를 만들어, 일단 학교 교직원과 학생들을 상대로 워밍업을 했다. 반응이 좋자 학생들은 더욱더 신났다. 수업 없는 주말엔 경주 시내로 나가자며 뜻을 모았다. 마침 5월이라 관광객과 특히 단체 수학여행단이 많이 오는 때였다. 전국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위덕대 홍보로도 안성맞춤이었다.
가장 많은 관광객이 오는 대릉원과 불국사를 홍보 장소로 정해서 2팀으로 나누었다. 홍보용 현수막도 만들었다. 학생들의 자발적이고 적극적 홍보 덕에 제법 많은 서명을 받아냈다. 이틀째, 지역 신문사에서 취재를 나왔고, 월요일 아침 신문 1면에 꽤 큰 사진과 함께 기사가 실렸다. 1차 목적을 달성한 것 같아 학생들과 환호했다.
1주일간의 운동으로 약 2000명 정도의 시민과 관광객의 서명을 얻는 성과를 거뒀다. 서명지를 어떻게 할 것인지를 학생들과 논의 후, 경주시에 전달하기로 결정했다. 학생 대표 몇몇과 함께 경주시장님을 찾아 전달식을 가졌다. 이 행사 또한 경주시에서 보도자료를 배포, 여러 신문에 보도되었다. 학교 홍보를 위한 우리의 의도는 100% 달성하였지만 아셈회의 경주 유치는 실패, 2000년 아셈회의는 서울에서 개최되었다.
이 행사로 광고비 없는 학교 홍보가 가능할 거란 예상은 적중했다. 그 후 위덕대에 재직했던 25년 동안 참 많은 이벤트와 행사를 벌였고, 이를 방송과 신문 등 각종 매체에 알리는 홍보역을 자처했다. 그 중 기억하는 이벤트는 ‘더사랑한데이’였다.
2009년 겨울, 종강 무렵이었다. 교수회의 중에 기말고사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교수들이 밥 한 끼 해먹이자 제안했다. 방송사에서 프로그램으로 만들기로 해서 일은 커졌지만 기쁘게 동참하신 교수들과 함께 김밥과 주먹밥을 만들어 학생들에게 나눠 준 이 행사는 그 후 매 학기말에 열리는 학교의 전통이 되었다. 2014년부터 성인학습자들이 많이 입학했다.
그들에게 재학생들과 함께 공부하는 ‘고맙데이’를 제안했다. 나이 상관없이 함께 공부하고 도와주는 학생들에게 고마움을 전달하는 작은 파티였다. 이 또한 위덕대 평생학습자 날의 시초가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