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러닝 기반 ‘AI 패트롤’솔루션 개발<br/>굴착기 탐지시 현장 사진·위치정보<br/>실시간 전송 ‘단선 사고’ 선제적 대응
KT 대구경북광역본부가 굴착공사 중 통신케이블 ‘끊어짐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눈길을 끌고 있다.
이 기술을 통해 실시간 전송 ‘단선 사고’를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사외 공사로 인한 장애가 최소화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13일 KT 대구경북광역본부는 굴착공사에 의한 광케이블 단선사고 예방을 위해 딥러닝 기반의 ‘AI 패트롤’ 솔루션을 자체 개발하고 KT 선로시설 인근 사외공사를 실시간 탐지한다고 밝혔다.
‘AI 패트롤’ 은 실행만으로 즉시 구동하는 스마트폰 앱이며 AI 객체 자동탐지기술로 굴착기를 감지한다.
감지된 굴착기의 위치 정보는 KT 선로관리 플랫폼 ‘아타카마(ATACA MA)’로 실시간 전달되고 통신케이블 인접 여부를 체크한다.
KT 선로시설 인접 공사장인 경우 해당 지역을 담당하는 KT 직원에게 현장 사진과 위치정보를 메일로 자동 발송한다. 메일을 수신한 직원은 현장 상황을 점검하고 필요시 현장 공사 책임자에게 작업 일시중지를 요청한다.
현장업무 수행을 위해 운행중인 차량에서 스마트기기로 ‘AI 패트롤’ 앱을 실행해 굴착기 감지로 외부공사장을 신속히 파악하는 방식이다.
KT는 선로시설에 인접한 미통보 굴착 공사장을 자동 탐지해 대형 장애 및 시설 피해를 최소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KT에 따르면, 대부분의 통신케이블 단선사고가 상하수도, 도로, 건물 신축 등의 공사 과정에서 발생하고 사전 협의가 이뤄지지 않은 구역에서의 굴착 작업이 원인인 경우가 많다고 한다.
KT는 통신케이블 단선사고를 줄이기 위해 그간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 왔다. 현장 순회 점검은 물론 통신케이블 매설지역에 안내 푯말을 설치하고 선로 시설 인근의 굴착공사에는 현장 입회 및 관리감독을 진행하며 건설 장비 기사들에게 위험 지역 안내 활동도 수행하고 있다.
공사관계자가 표지판의 QR 코드를 촬영하면 주변 광케이블 현황을 보여주는 광케이블 근접 조회 서비스도 제공하고 통신케이블 단선사고에 대한 문의가 쉽도록 전국 대표번호(1551-0499)도 운영한다.
또한, 가스안전공사가 운영하는 ‘굴착공사 정보지원센터’에 등록된 공사 현황과 경찰청이 운영하는 ‘도시교통정보센터’의 돌발공사 정보를 수집해 선제적 예방 활동을 수행한다.
지난달 9일에는 HD 현대사이트솔루션과 협업해 굴착기 운전자와 지역 담당 KT직원에게 통신케이블 단선사고 발생 가능성을 미리 알려주는 ‘지능형 통신 케이블 보호시스템’을 도입한 바 있다.
KT 대구경북광역본부장 최시환 전무는 “통신케이블 단선사고는 통신 서비스 중단을 넘어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을 발생시킨다”며 “돌발 굴착공사를 탐지하는 선제적 대응 활동으로 네트워크 안정 운영에 더욱 힘싸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재욱기자 kimjw@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