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 여름방학이나 겨울방학 때, 잠시의 여유 시간이 나면 뜨개질을 하곤 했다. 어느 여름방학 땐 굵은 실로 소파덮개를 짜기도 했다. 그 즈음 지역신문에 정기칼럼을 연재 중이어서 ‘뜨개질’을 제목으로 한 글을 게재하였고, 몇 년 전 펴낸 수필집 ‘고비에 말을 걸다’에 싣기도 했다.
또 어느 겨울엔 긴 목도리를 짜서 식구들마다 크리스마스 선물을 한 적도 있다. 솜씨는 없으니 패턴도 없는 민무늬, 그저 짜기 쉬운 걸로 길게만 짜면 되는 것이었다. 남편, 큰아들, 작은아들 차례로 목도리를 짜서 목에 휘감아주었다. 아들들은 고맙게도 결혼 후인 지금도 그 목도리를 간직하고 있었다. 엄마가 짜 준 것이라고 며느리에게 말했던지 버리지 않고 소중히 여기는 것 같아 내심 흐뭇했다.
나도 노랗고 포근한 느낌의 실로 목도리를 만들어 감고 다녔다. 학교의 친한 교수가 탐을 내어 선뜻 드리고, 다시 하나 더 짠 기억도 있다. 손주들이 넷이나 되고 막내 린이 걸음마를 떨 때쯤엔 민소매 원피스나 셔츠를 짰다. 첫 손녀 윤에게는 분홍원피스, 은에게는 연두색, 린에게는 노란 원피스를 짜 주었다. 손자인 건에게는 하늘색 민소매 셔츠를 입혔다. 그 역시 그다지 어렵지 않았다.
며느리들에게 미리 사이즈를 물어 적당히 맞추면 될 정도로 쉬운 뜨개질이었다. 다 짠 옷을 보내자마자 곧바로 입혀 사진 찍어 보내주니 그걸로 만족했다. 뜨개실이 부드럽지 않고 다소 거친 감이 있어선지 아이들이 입기를 꺼려했다는 후일담을 들었지만 개의치 않았다. 그 옷들은 어디로 갔는지도 궁금치도 않다. 그저 내 손으로 손주들의 옷을 짜면서 애들에게 입혀 보는 설렘을 즐기는 것으로 족했다.
그리고 한동안 뜨개질을 잊었다. 바빴던가 보았다. 2년 동안의 유치원 다니던 손주들이 학교에 가자 쉬는 틈이 많아졌다. 문득 뜨개질이 떠올랐다. 집중해서 할 일이 없을 땐, 손이 심심하다. 무료하게 TV라도 보는 시간이 되면 특히 더 생각이 났다.
마침 오랜 시간 비행기를 타고 여행할 계획도 있어 결국 뜨개방을 찾았다. 여행은 설레고 좋지만 비행기를 타는 게 항상 두렵고 지겹고 고역이다. 책도 읽고, 작은 손바닥만 한 크기의 퍼즐을 가지고 간 적도 있지만 시간은 더디 흐르고 몸은 고되고 힘들다. 그래서 생각해낸 것이 뜨개질이었다. 14시간이나 걸리는 비행시간을 마냥 견뎌야 할 것인데, 뜨개질이 시간 죽이기에는 최고의 소일거리가 될 것이다. 실을 사고, 적당한 소품으로 손가방을 골랐다.
미리 연습 삼아 하나를 짰더니 한 3일만에 가방 하나를 완성했다. 코바늘로 짜는 거라 사이즈와 패턴도 넣고 내 맘 대로 할 수 있다. 마음에 들지 않으면 또 풀어도 될 것이니 심심풀이로는 제격이다. 선물로도 괜찮을 것 같아 짜투리 실로 휴대폰 케이스도 두어 개 짜봤다.
문득 중학교 때 생각이 난다. 아마 가정 시간에 코바늘 뜨개질을 배웠을 것이다. 스승의 날, 선생님께 드리려 만년필 케이스를 짰다. 담임선생님께는 분홍과 연두의 색으로 둥글게 말려 올라가는 줄무늬로, 작년도 담임선생님께는 흰색과 파란색으로 무늬를 짜 넣은 자그마한 만년필 케이스를 짜 드렸다. 예뻤던 여선생님들이셨는데, 어디서 무얼하고 계실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