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징어의 한계선이 자꾸 서해안으로 올라간다. 위로 올라가는 그만큼 점점 몸값이 비싸지기도 했다. 그래서 새벽시장이다. 조금이라도 지출을 줄이기 위한 몸부림이다.
시장으로 들어서니 경매인의 손으로 건너온 문어가 큰 다라이에서 미끄럼을 탄다. 작은놈 큰 놈 할 것 없이 지구인과는 다른 종처럼 보인다. 그런 얼굴로 제사상에 늘 올라앉는 품목이다. 집안 큰일에 삶아서 올리면 다리 한 부분 둥글게 쩍쩍 달라붙는 문어야말로 비싸지만 제대로 몸값을 한다. 이제 시가에 팔린 문어는 커다란 솥으로 직행해서 삶겨 또 갈고리에 걸릴 것이다. 문어가 첫 문장을 쓴다.
활어야말로 시장의 생동감을 그대로 느끼게 한다. 물속에서 제대로 날고뛰던 놈들이 죽은 듯이 엎드리지 않는다. 지느러미와 꼬리로 한 번씩 물을 쳐올리며 퍼덕이던 삶의 막장을 쓴다.
늘 동사, 의태어였던 그들은 머지않은 시간 시퍼런 바닷물에서 유영하던 것들이 좁은 수족관에 갇혀 삶의 종착역에 다다른다. 뜰채에 의해 무게가 결정되면 아낌없이 아줌마들의 날렵한 칼날 앞에 앞뒷면이 해체된다. 바다의 향기는 순식간에 한 점의 젓가락에 잡혀 올라가고 시퍼런 꿈들은 이미 사라진 후다. 흥정으로 철썩철썩 바다 향기가 진하게 두 번째 줄을 칠한다.
아무리 싸도 갈치는 갈치다. 은비늘 반짝이며 미끈한 몸매를 과시하는 생선 앞에서 아낙들은 쉬 지갑을 열지 못한다. 아이 손바닥만 하게 동강 내서 굽거나 찌지면 그 맛이 비린내로 등천해도 어떤 맛인지 안다. 바다낚시로 잡힌 갈치의 은비늘은 한 톨의 구김 없이 빛을 발한다. 한두 바퀴 돌다 제일 값이 맞는 곳이라야 흥정에 값 치르고 대가리를 떼고 유영하던 지느러미를 과감히 날리고 긴 꼬리까지 길이에 맞게 자른다. 노릇노릇 식탁에서 밥값 톡톡히 할 갈치가 장바구니에 담기며 중심 문장을 쓴다.
전복 한 마리를 넣고 라면을 끓여 대박이 난 식당이 있다. 전복이 갖는 위력이다. 병약해진 가족을 위해 접착력 강한 삶의 이면으로 강하게 붙어있는 전복을 크기에 맞게 그날 시세로 팔려나간다. 죽을 끓여도 좋고 해물탕에 넣어도 좋다. 전복불고기는 말해 무엇하랴. 담백하고 졸깃졸깃한 맛 또한 일품이다. 어디에 내놓아도 그 이름값을 한다. 큰 놈을 사겠다고 줄 서는 사람들은 원기 회복하고 열심히 살아갈 사람들이다. 전복에게는 바다와 해초 향이 그득 담겨 바다 속의 풍경을 연상케 한다. 바다의 은유다.
어시장 한 켠에는 얇게 저며진 독특한 향의 고래고기가 입맛을 다시게 한다. 포경선이 사라지고 사람들은 쳐둔 거물에 걸려 올라오는 밍크고래를 끌어올려 수육을 팔아 나갔다. 소금장에 찍어 먹으며 소주 한잔을 걸치는 사람들의 얼굴이 밝다.
옛 고향 마을에도 오일장이 서면 좌판에 펼쳐둔 고래고기는 특미였다. 사내들은 기름이 가득한 고기를 씹으며 소주에 취해 파장쯤에는 인사불성이 되곤 했다. 그러나 우리 집 밥상에는 고래는 오늘도 건너뛴다. 식구 많은 우리 집 밥상에 값나가는 고래는 사족이다.
한 무더기씩 쌓인 고동이며 새우며 뼈 없는 종족들이 모여 있다. 싱싱한 고동을 삶아 이쑤시개로 마지막 내장까지 꺼내 초고추장에 찍어 먹으면 맛나다. 먼 바다를 향해 둥글게 말아 감은 고동의 소리가 한껏 고조된다. 옆에 잔 새우는 볶거나 국물 내기에 더없이 좋고 큰 새우는 튀김에서 단연 최고다. 껍질을 까고 이곳저곳 다양하게 새우를 넣으면 품격이 높아진다. 탄력 있는 새우가 오늘 좌판에서 수염을 길게 늘어뜨리고 지나는 이를 향해 아련한 눈길을 보낸다. 접속사 같은 녀석들을 한 방구리씩 주워 담아 시장을 나선다.
새벽을 걷어낸 햇살의 팔다리가 길게 발치에 뻗친다. 장바구니에 담긴 바다가 식기 전에 집으로 달려간다.
후다닥 저미고 굽고 졸이고 튀겨낸 수필 한 상 차려 가족들의 배를 든든히 채워 세상으로 내보낸다. 오늘 하루를 무사히 건너가라 등을 떠민다. 현관에 가족들이 벗어둔 관용어를 쓸어 담아 수납장에 포갠다. 또 찾아올 새벽을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