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신임·이임 감사들 행차 굽어보며 태평성대 빌었던 노송

등록일 2024-05-29 19:16 게재일 2024-05-30 14면
스크랩버튼
(31) 문경새재 숲길 교귀정 소나무 노거수
문경새재 교귀정에는 소나무 노거수가 늘 함께하고 있었다.

문경새재 옛길은 역사의 길이다. 영남의 선비들이 한양으로 오가며 과거시험 보러 가는 등용문의 길이며 낙향의 길이다. 외침으로부터 조선의 수도 한양을 지키는 고갯길이다. 이런저런 우리 조상의 삶이 스며있는 애환의 아리랑 고갯길이며 인생길이다.

이제 옛 기억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건강을 위한 치유와 명상의 숲길로 재탄생하여 힐링하는 사람들로 물결치고 있다. 신록의 계절 오월의 어느 주말 문경새재 녹색 숲길을 찾았다. 넓은 주차장부터 만차이다. 영남인뿐만 아니라 전국, 세계인들이 찾아오고 있다. 무엇이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였을까? 산속 숲길에는 유명한 가수의 공연도 명사의 강연도 인위적인 그 어떤 행사도 놀이기구도 없다. 그저 나무들이 운집한 울창한 녹색의 숲에는 맑은 계곡물 흐르는 소리, 새들의 지저귐, 바람 소리 등 자연의 소리뿐이다. 그러나 녹색의 숲길에 들어서면 볼 수도 없는 신선한 공기가 쭈그러진 우리의 가슴을 부풀게 하고 축 늘어진 어깨가 으쓱해지고 동공을 키우며 마음을 매료시킨다.

넓은 푸른 잔디광장 끝에는 주흘산과 조령산 자락을 끌어당겨 성벽으로 묶어 놓고 중앙에 주흘관이라는 육중한 성문을 만들어 놓았다. 문짝 없는 성문은 밀려드는 사람들을 마다하지 않고 품었다. 먼저 조선 관리의 공덕비가 한 줄로 서서 방문객들을 맞이하고 있었다. 새재의 숲길은 오월의 따가운 햇살을 나뭇잎들이 가리어 그림자를 드리우고 길 위에는 녹색의 향을 뿌렸다.

 

거북등 같은 육각형 수피 2.6m 굵기

인고 세월·풍상 견뎌온 경륜 한눈에

관리들에게 청렴·절개·효도의 상징

‘불됴심’ 비석과 함게 역사의 산증인

 

주변에 ‘용추연’ 자리 시인·묵객 북적

역사 숨결 스민자리 맨발 코스 인기

교귀정 소나무.
교귀정 소나무.

길 따라 깊은 숲속에서 계곡물이 흘러내리고, 길옆 도랑에는 계곡물을 끌어들여 또 다른 작은 물길을 터놓았다. 물은 자연의 섭리에 따라 낮은 곳으로 흐르니 극히 자연스러운 데 반하여 나는 숲길을 거슬러 오르니 숨이 차다. 물은 낮은 곳으로 흐르는 것이 본성이나 인간은 높은 곳으로 오르고 싶은 욕망 때문에 늘 힘들어한다. 무거운 욕심의 짐 내려놓으려고 하나, 그것 또한 마음뿐이다. 물길은 내림의 길이고 인생길은 오름의 길인가 보다. 맑은 물소리는 자연의 소리와 하모니를 이루어 녹색 숲의 깊은 늪에 빠져들게 했다.

주흘관(主屹關)과 조곡관(鳥谷關) 중간 지점 용추연(龍湫淵)이 있었다. 용추연은 계곡 바위 위에서 떨어지는 폭포 아래에 깊은 소가 있는 곳으로 오랜 세월 동안 자연이 빚어 만든 절경으로 많은 시인 묵객이 노래하던 곳이다.

아름다운 용추연 있는 곳에 교귀정(交龜亭)이 있었다. 교귀정은 조선시대 경상도 신구감사 교인식을 거행한 교인처(交印處)를 말한다. 교귀정에는 소나무 노거수가 늘 함께하고 있었다.

짐작하건대 언뜻 보아도 나이가 삼사백 살은 되어 보인다. 거북등 같은 육각형 수피가 뚜렷이 몸을 감싸고 있는 것만 보아도 그렇고, 몸 둘레의 굵기는 2.6m이고 키는 8m나 되었다. 외모로 보아도 인고의 세월을 견디어 온 범상치 않은 경륜을 말해 주고 있었다. 교귀정 주변에는 이 외에도 여러 그루의 소나무 노거수가 함께 살아가고 있었다. 뭐니 해도 문경새재 숲길의 절정은 용추연과 돌에 새겨진 그 노래 시비, 교귀정과 그 지킴이 소나무 노거수가 있는 이곳이 아닌가 싶다.

교귀정 노거수는 청렴, 절개, 사랑, 효도의 표징으로 관리의 서약을 받았을지도 모른다. 소나무는 우리 민족의 삶과 문화에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민족의 나무라 할 수 있다. 부임하는 관리에게는 응원의 격려를, 떠나는 관리에게는 감사의 박수를 보냈을 것이다. 이제는 할 일이 없어졌는지 비스듬히 누운 자세로 노송은 여유를 즐기며 교귀정을 지키고 있다. 새알 같은 둥근 바위에 “이 교귀정 소나무는 … 마치 여인이 춤을 추는 듯 새재를 찾는 많은 사람에게 사랑받고 있다. 보면 볼수록 특이한 형태와 수형으로 그 신비감을 더해 준다”라고 소나무 노거수를 찬양한 글이 새겨져 있었다. 교귀정 노거수가 이렇게 오랫동안 산 증인으로 살아갈 수 있었던 것은 ‘불됴심’이라 새겨진 길가 비석 때문이 아닐까. 새재 길을 오르내리는 사람들이 불조심이라는 경구의 표석을 보고 마음에 새기고 조심한 덕분이 아닐까. 그러나 교귀정 소나무는 하필 물도랑을 낼 때 뿌리 밑으로 내는 바람에 뿌리가 많이 상한 탓에 가지가 고사한 흔적이 여기저기 보여 안타까움을 자아내었다.

소나무 비.
소나무 비.

지난봄, 여름, 가을, 겨울에도 이 길 위를 걷고 또 오늘도 걸었다. 사계절 걸으면서 듣는 숲속의 바람 소리는 제각각 다르게 느껴졌다. 숲의 위치에 따라, 나무의 종류에 따라, 지형에 따라, 고도에 따라, 음지, 양지에 따라, 날씨에 따라 달랐다. 또한 마음의 평온 여부에 따라 달랐다. 숲은 소리의 고향이 아닌가 싶다. 문경새재 숲길이라는 장소는 변함없는데, 계절에 따라 또 다른 모습과 느낌으로 다가온다.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많이 찾아와 신발을 벗어놓고 맨발로 걷는 사람도 많다. 발을 씻을 수 있는 세족장에서 바가지로 물을 퍼 흙 묻은 발을 씻고 있는 그들의 얼굴은 환하게 밝았다. 나 또한 그들과 같이 신발을 벗어 배낭에 넣고 맨발로 녹색의 숲길을 걸었다. 대지의 흙에 맨발바닥 살을 갖다 대니 묘한 촉감이 감정선을 자극했다.

산이며, 하늘이며, 숲의 자연은 마치 사람의 얼굴과 같아서 자세히 보아야만 알 수 있으며 슬쩍 눈길만 주어서는 모른다. 하늘과 땅 사이에 물건마다 모두 주인이 있으니, 내 소유가 아니면 한 점도 취할 수 없지만, 오직 숲길에 부는 맑고 시원한 바람과 나뭇잎 사이의 따뜻한 햇살은 얼마든 취해도 막는 이 없고 아무리 사용해도 없어지지 않는다. 이야말로 조물주의 끝없이 감추어 놓은 화수분이 아닐까. 옛날 우리 조상들은 산의 아름다움은 흙으로 살을 붙이고 돌로써 골격을 삼고, 초목으로 모발을 삼는다고 했다. 초목이 무성해야 살과 골격을 온전히 보전할 것이다. 문경새재 숲길은 이 모두가 잘 갖추어져 있어 우리 조상의 자연사랑을 엿볼 수 있었다.

문경새재 사계절의 숲길을 걸으면서 내 인생 한해의 삶을 반추해 본다. 풍성한 수확을 기대하면서 살아왔지만, 매번 큰 결실의 열매를 얻지는 못한 것 같다. 나의 노력이 부족 하였든지 아니면 봄에 희망의 씨앗을 제대로 뿌리고 여름에 가꾸는 데 나무와는 달리 열심히 노력을 기울이지 못했는지도 모른다. 아니면 봄의 희망이 지키지도 못할 과한 욕심이 아닐는지. 매년 후회를 하면서 늘 빈 가슴을 안고 살아왔다. 그러나 나에게 물질적으로 얻은 것은 그다지 없다 하더라도 계절을 맞이하면서 보내는 숲길에서 콩나물 같은 철학의 이삭 하나쯤은 주었다.

매번 숲에 오면 숲과 한 몸이 된다. 숲에서 심호흡하고 숲의 향기를 맡고, 나무와 숲을 감상해 본다. 숲속 나무 아래에 서서 나무를 쳐다보며 허파 속 묵은 공기를 내뿜고 신선한 숲의 공기를 마셔본다. 공기의 신선한 맛을 음미하면서 온몸의 핏줄을 따라 퍼지는 것을 느껴본다. 욕심의 찌꺼기를 씻어내니 빈손으로 들어가 나올 때도 비록 빈손이지만, 텅 빈 가슴에는 기쁨의 충만감으로 가득 채워져 있다.

교귀정 주변 용담시비.
교귀정 주변 용담시비.

경상감사 도임행차(到任行次)는

 

교귀정은 도임하는 신임 감사와 업무를 마치고 이임하는 감사가 관인(官印)을 인계인수하던 곳이다. 문경새재 용추폭포 옆에 위치했다. 문경 현감 신승명(愼承命)이 1400년대 후반(1466-1488년)에 세웠다고 전해진다. 구한말에 불에 타 없어졌던 것을 1999년 중창하였다. 경상감사 도임행차는 조선시대의 ’미암일기초(尾<84ED>日記草)‘와 ’탐라순력도(耽羅巡歷圖)‘에서 보여지는데 총 300여 명으로 구성됐었다.

 

/글·사진=장은재 작가

수필가 장은재의 명품 노거수와 숲 탐방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