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나의 월든은 어디에

등록일 2024-05-26 18:10 게재일 2024-05-27 17면
스크랩버튼
이희정 시인
이희정 시인

고속도로로 가면 아주 멀진 않아.

그곳의 거친 소나무들과 돌들, 맑은 물을 보고

해 지기 전에 돌아올 수 있을 거야.

친구들은 그러면 내가 더 현명해질 거라고 말하지.

그들은 머나먼 양키의 속삭임을 듣지 않아

여기저기 바삐 뛰어다니다 보면 우리는 얼마나 둔해지는가!

많은 사람이 떠났고, 시원한 시골에서의 하루를

그리워만 하는 나를 바보 같다고 생각하지.

그럴지도 몰라. 하지만 내가 소중히 여기는 책에서

월든에 가는 건 단순한 초록 나들이처럼 간단한 일은

아니지. 그건 느리고 힘든 삶의 비결이고,

자신이 있는 곳에서 월든을 발견하는 것이지.

―메리 올리버, ‘월든에 가기’ 전문 (‘기러기’, 마음산책)

여기 두 개의 월든이 있다. 최초의 녹색 서적으로 일컬어지는 ‘월든’의 저자 헨리 데이비드 소로에게는 숲과 호수가, 메리 올리버 시인에게는 숲과 바다가, 그들 사이에는 “거친 소나무들과 돌들, 맑은 물”과 같은 자연의 선물이 있다. 메리 올리버 이전의 내가 아는 월든은 세련되고 까다로운 사상가 에머슨(1803년~1882)과 투박한 고집불통의 자연주의자 소로(1817~1862)의 불멸의 우정이었지만, 그들과 더불어 미국의 시인 메리 올리버(Mary Oliver·1935~2019)가 있다.

미국 오하이오주에서 태어난 시인은 자연 속에서 자란 덕분에 어린 시절부터 자연과의 친화적이고 동반적인 관계 형성이 가능했다. 자연 속을 산책하고, 세밀히 관찰하고 동식물과 교감하며 그 경험과 자신의 지혜를 언어로 재현하는 이른바 생태 시인이다. 그녀의 시는 이 세상의 모든 존재 심지어 무생물인 돌도 살아 있다고 사유하며 소로가 다루고 있는 월든의 의미를 삶으로 체득하고 있다.

지혜란 어디에서 오는가. 근원적인 아름다움이 자연에 있듯 우리가 만들지 않은 생명의 순수한 세계가 아니겠는가. 그녀는 자연을 가까이 들여다볼 수 있게 해줄 뿐만 아니라 우리의 마음을 겸허하게 한다. 시적인 마음이란 그런 것이 아닐까. 그녀의 관점은 오래 남을 자연과 인간의 공감어린 우애로 가득하다. 그렇다면 시 ‘월든에 가기’에서 양키의 속삭임은 무엇이고, 월든은 어디일까?

양키(Yankee)는 과거 영국인들이 미국인들을 촌뜨기로 조롱하는 표현이었지만 시인이 말하는 양키는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내면의 소리, 이를테면 반짝이는 공기나 나무의 이끼 등 고요가 들려주는 깊은 속삭임일 것이다. 친구들은 고속도로를 권한다. 그들은 월든을 “초록 나들이처럼”간단히 인식하지만 숲은 그런 곳이 아니다. 풍경이 아름답다는 건 환경이 열악하다는 뜻이기도 할테니까. 귀농하지 않아도 자연인이 되지 않아도 도시 속에서도 세상의 명령에 길들지 않을 수 있다. 단 한 평만이라도 내면의 월든을 만난다면 말이다.

철학교수가 될 것인가. 철학자가 될 것인가. 많은 책에서 ‘나’라는 제일인칭은 생략하지만, 소로는 월든에서 진정한 자신의 삶을 사는 것에 관해 말했다. 시인 메리 올리버 또한 ‘사람들’이란 말에 힘을 주지 않고 진정한 ‘나 자신’에 대해 말한다.

“많은 사람이 떠났고, 시원한 시골에서의 하루를/ 그리워만 하는 나를 바보 같다고 생각하지” 대개의 문명인들이 조롱하듯 월든에 가는 일은 단순하지 않다. “단순한 초록 나들이처럼 간단한 일은 아니지.” 그것은 “느리고 힘든 삶의 비결이고,/ 자신이 있는 곳에서 월든을 발견하는 것”이라고.

우리 옛글에도 월든이 있다. “연못, 늪에서 물고기를 잡아먹는 도하는 물속의 찌꺼기를 쪼고 마름풀 속에 물고기 잡는 데만 신경을 쓰느라 깃털과 부리에까지 오물을 뒤집어 쓰고 하루종일 허둥대어도 물고기 한 마리를 잡지 못한다. 그런가 하면 청장이라는 새는 맑고 시원한 연못에 서서 편한 자세로 날개를 접고 장소를 옮기지 않는다. 그 고요한 것은 노래를 듣는 듯 편하게 지내면서도 항상 배가 부르고, 도하는 수고롭지만 항상 굶주린다. 세상의 부유함과 귀함, 명예와 이익을 구하는 사람에 비유하여 청장을 신천옹이라고 불렀다.”(‘맑은 바람이 그대를 깨우거든’ 중 박지원 ‘담연정의 기문’, 이덕무 지음, 이강엽 편역)

진정한 월든은 어디에 있을까. 하루종일 허둥대는 도하인가. 고요한 청장인가.

“여기저기 바삐 뛰어다니다 보면 우리는 얼마나 둔해지는가!”

이희정의 월요일은 詩처럼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