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잊을 수 없는 기억을 찾아서

등록일 2024-05-19 17:06 게재일 2024-05-20 19면
스크랩버튼
김규종 경북대 명예교수
김규종 경북대 명예교수

누구나 잊을 수 없는 장면 하나둘은 있는 법이다. 망각의 강을 건너면서 전생의 기억을 송두리째 날리고 난 후에야 예닐곱 살을 먹는다는 얘기도 있다. 윤회를 믿는 사람들의 이야기라고 치부하기엔 아주 생생하게 전생을 기억하는 인간도 많다고 한다. 세계 전역에 3000명이 넘는 사람이 전생을 낱낱이 기억한다는 기록도 있다.

전생을 들먹이지 않아도 ‘메밀꽃 필 무렵’(1936)의 허생원처럼 가슴에 묻어두는 기억이 있기 마련이다. 오래전 서울 달동네에 살 때 보았던 장면이 어제처럼 선연하다. 무척이나 추웠던 어느 겨울날 아침 심부름을 나왔다가 스무 살 남짓 되어 보이는 청년이 길가에 있던 집의 열려 있는 대문 안으로 쑥 들어서는 것을 본다.

그 집을 나오는 청년의 손아귀에는 붉은색 털실 스웨터가 들려 있었다. 아직 물기가 덜 빠져서 그런지 묵직하게 보이는 스웨터를 들고 그는 달리기 시작한다. 달리면서 그는 연방 좌우를 둘러본다. 이윽고 “도둑이야!” 하는 고함(高喊) 터져 나온다. 몇몇 사람들이 청년을 막아서거나 몸을 붙잡는다. 청년은 걸음을 멈추고 하늘을 올려다본다.

그의 표정이 기억에 또렷하다. 붙잡혀서 잘 됐다는, 이제 됐다는 안도의 기색이 역력한 얼굴을 어찌 잊을 수 있겠는가?! 크게 만족하고 평안한 얼굴의 청년이 아홉 살 난 나를 당혹하게 하는 것이었다. 사실 도둑질한 청년은 필사적으로 달리지 않았다. 그저 빨리 달리는 시늉을 했을 뿐, 옷을 훔쳐야겠는 움직임은 보이지 않았던 게다.

미당(未堂)은 ‘무등(無等)을 보며’에서 “가난은 한낱 남루에 지나지 않는다”라고 썼다. 한국동란이 끝난 이듬해에 시인이 통찰한 깨달음으로 해석하는 이도 있지만, 나는 이것을 현실과 유리된 시인의 관념적 사유와 인식으로 수용한다. 우리가 항용 나직하게 속삭이는 가난이란 말은 뛰어넘기 어려운 장벽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19세기 중후반 유럽 문단의 관심사 가운데 하나가 빈곤과 무지에서 오는 타락과 방종이다. 찰스 디킨스가 이 주제의 선구자인데, 그는 ‘올리버 트위스트’(1838), ‘크리스마스 캐럴’(1843), ‘어려운 시절’(1854), ‘막대한 유산’(1861) 등에서 19세기 초중반 영국 노동자들의 새빨간 가난과 가난이 몰고 오는 폐해를 그려낸다.

빅토르 위고의 대작 ‘레미제라블’(1862)의 주제는 청춘 남녀의 애틋한 사랑이 아니라, 빈곤과 무지가 낳은 타락과 방종이다. 에밀 졸라가 1877년 출간한 ‘목로주점’에서 가난과 무지는 알코올중독과 무도병, 매춘으로 이어지면서 빈곤의 끝을 선연하게 보여준다. 이런 본보기를 우리는 김동인의 ‘감자’(1925)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요즘 언급되는 불평등과 상대적 빈곤은 관념적 사치가 극에 달한 자의 정치적 수사이거나 미사여구에 지나지 않는다. 빈곤 문제는 가난의 뿌리를 가장 깊은 곳까지 들여다보고,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하지 않는다면, 구두선(口頭禪)이 될 수밖에 없는 뿌리 깊은 것이다.

破顔齋(파안재)에서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