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두려워하지 말라!

등록일 2025-08-31 17:46 게재일 2025-09-01 19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김규종 경북대 명예교수

누구 하나 예외 없이 사람은 딱 한 번 살다 간다. 이것은 모든 생명 가진 것들의 필연적인 공통 운명이다. 그런 까닭에 우리는 숱한 시행착오와 오류를 되풀이하며 살아가는 것이다. 여러 차례 경험했거나, 안정적이고 익숙한 상황이라면 비슷한 실패와 좌절과 만나지 않을 터다. 하지만 우리 가운데 누구도 그런 특혜나 행운을 거머쥔 사람은 일찍이 없었다.

아주 젊었던 시절 나는 학생들에게 ‘두려워하지 말라’는 말을 자주 했던 모양이다. 이번 여름에 오랜만에 만나게 된 졸업생들이 학창 시절 나한테 들었던 ‘두려워하지 말라’는 말이 인생살이에 도움이 되었다고 전한다. 이런저런 실망과 실패와 미래에 대한 막연한 기대와 두려움에 시달리고 있을 때 그 말이 적잖은 위로가 되어 다가왔다는 것이다.

그들의 전언에 귀 기울이다가 당시 정황이 떠올라 잠시 뭉클했다. 인생도 학문도 깊지 못한 백면서생(白面書生)으로 어느 날 문득 교수가 되고 보니 눈앞이 캄캄해진다. 세상과 인간, 우주와 자연, 문학과 예술에 얕은 지식과 재주만 가지고 있던 터여서 감당이 불감당이던 시절. 그리하여 내게 닥친 시련과 고난을 어찌할 바 몰랐던 시절의 치기(稚氣)가 떠오른 게다.

천방지축 좌충우돌(左衝右突)하면서 전연 좌고우면(左顧右眄)하지 않았던 30대 후반 40대 초반의 어리석은 자화상에 새삼 낯이 뜨거워진 것이다. 내가 그 시절 ‘두려워하지 말라’고 입버릇처럼 말한 것은 실상 나한테 던진 말이었을 공산(公算)이 크다. 물어볼 사람도 조언을 청할 사람도 하나 없는 천애고아(天涯孤兒) 같은 처지에서 실상 자기를 위로한 것은 아니었을까?!

우리는 인식하지 못하지만, 실제로 우리가 항용 내뱉는 모든 말의 첫 번째 수신자는 우리 자신이다. 나의 입에서 발화(發話)되는 말을 가장 먼저 내가 듣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가 진지하게 혹은 서둘러서 상대방에게 던지는 말은 거의 예외 없이 우리 내면 깊숙한 곳에 터를 잡고 있거나, 잠재의식 근저(根底)에 존재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평소에 그나 그 여자가 무슨 말을 자주 하는지 경청해 보면 그나 그 여자의 관심사를 어렵지 않게 알아낼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내가 ‘두려워하지 말라’는 말을 ‘조자룡 헌 칼 쓰듯’ 했다면, 분명 당시에 나는 두려워하고 있던 사정이나 사람, 혹은 헤쳐 나가기 어려운 지경에 있었을 것이다. 그런 연유로 나는 자기를 위로하고자 ‘두려워하지 말라’고 했을 가능성이 크다.

그런데 복잡다단하고 막연하며 어쩔 줄 모른 채 20대와 30대를 살아가야 했던 청춘들이 그 말에서 위로를 찾았다는 사실이 흥미롭다. 가장 화려하고 아름답지만, 가장 혼란스럽고 위태로운 지경의 젊은 시절을 통과하는 방편의 하나로 그들은 ‘두려워하지 말라’라는 경구를 골랐던 모양이다. 그 말을 들으면서 나 역시 마음이 푸근해지고 위로받는 느낌이 들었다.

이제는 어언 50줄에 접어들어 귀밑머리가 조금씩 하얘지고 있는 그들을 보면서 가슴 한편이 따스해지는 것이다. 그들과 울고 웃으며 함께 건너온 세월이 새삼스럽게 가슴을 적신다. 이젠 동료나 친구처럼 여겨지는 그들과 함께할 앞날이 소중하게 다가오는 화사한 아침나절이다.

/김규종 경북대 명예교수

破顔齋(파안재)에서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