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 세 마리가 한집에 있어,
아빠 곰, 엄마 곰, 애기 곰….”
노래를 부르며
으쓱으쓱 춤을 추는 친구들
우리는 엄마랑 아빠랑 따로 사는데….
울먹이는 준이
너 그거 알아?
사실, 곰들은 따로 산대
아빠 곰은 수컷끼리
애기 곰은 엄마랑 잠깐만 산대
엄마 곰은 혼자서 살아간대
자연에서는 따로 사는 동물들이 더 많아
코끼리도 호랑이도 다 그렇게 살아가거든
같이 살아도, 따로 살아도 괜찮아
우리도 하루의 반을
어린이집에서 같이 살고 있잖아
―정지윤,‘곰 세 마리의 비밀’전문 (‘전달의 기술’, 상상동시집)
정지윤 시인의 동시 ‘곰 세 마리의 비밀’의 첫 행은 우리 모두 널리 알고 있는 동요로부터 시작된다. 이 시는 앙증맞은 어린이 세상 속에서 상처 입은 어린 마음의 현실을 동요와 포개어 피할 수 없는 육아 현장 속에 짠하게 담아놓았다.
시인은 곰의 생활 방식을 빗대어 다양한 가족의 모습을 재현해 보인다.
사실상 여러 이유로 부모가 아이를 돌볼 수 없는 현대 가족의 구조와 육아의 형태를 반영하고 있다.
공간적으로는 어린이집이 주요 배경이 된다. 곰의 공간이 꿈이라면 어린 아가들의 공간은 현실이다. 곰 세 마리 동요 속에는 엄마, 아빠, 아기가 한집에 산다. 동요의 이 대목에서 엄마와 아빠가 따로 사는 이혼 가정의 준이의 처지가 노출된다.
하지만 마음 착한 친구들은 울먹이는 준이에게 곰들의 비밀을 들려준다.
사실은, “곰은 수컷끼리 애기 곰은 엄마랑 잠깐만 산다.” 그리고 “엄마 곰은 혼자서 살아가기도 한다”며 곰이라는 동심 공간에 준이의 현실 공간을 이입해 달래 주고 있다.
그런데 내부적으로는 이질적이던 친구와 준이의 가족 공간은 마지막 구절에서 동질감을 불러오는 묘한 기류가 감지된다.
결국 아기곰 모두 하루의 반을 엄마나 아빠와 떨어져 사회기관인 어린이집에서 맡겨져 있다는 현실을 보인다. 주제 의식이 명확한 동시다. 동심을 소재로 한 작품임에도 그 정서가 마냥 밝지만은 않은 이유다.
그나마 다행이랄까. 이 동요적 공간에서는 이렇다 할 사건이 일어나지 않는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이 동시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들은 율동이나 행간 바깥에 있을지도 모른다.
오래 되었어도 쉬이 떠나지 않는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가족 영화 ‘아무도 모른다’를 떠올려 보자.
1988년 도쿄에서 일어난 ‘스가모 아동방치 사건’을 모티브로 한 이 영화에는 출생 신고도 안 된 네 명의 아이들이 오랫동안 굶주림에 방치되어 있다가 집주인에게 알려진 이야기다. 게다가 버려진 네 아이들의 아빠가 모두 달랐다는 사실과 의자에서 떨어져 죽은 막내 아이는 인근 숲속에 매장되었다는 사실은 당시 일본 도시 사회의 무관심과 인간소외로 인한 사회문제의 비극을 드러낸 참담한 사건이었다는 점이다.
출생 직후 베이비박스에 유기된 아동의 사례가 공공연한 현실인 우리나라 또한 다르지 않을 것 같다.
여러 가지 장벽으로 비혼주의나 맞벌이 무자녀 가족을 일컫는 딩크족이 늘어나는‘씨 없는 사회’로 다가가고 있음은 주목해 볼 대목이다.
오월의 거리는 감사의 인사로 넘실거린다. 반갑고 미안한 것들 사이 어린이집에서나 가정에서나 으쓱으쓱 자라나는 “아기곰은 너무 귀엽지” 않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