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 “현 시국 소상히 설명한 자리”<br/>야권은 “언제까지 고집불통” 혹평<br/>유승민도 “하나마나한 회견” 직격
윤석열 대통령의 9일 취임 2주년 기자회견을 두고도 여야는 첨예하게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여당은 진솔하고 현 시국 현안에 대해 소상히 설명한 자리였다고 평가했지만, 야권은 총선 민의를 전혀 모르는 고집불통의 자화자찬식 메시지였다고 비판했다.
특히 윤 대통령이 사실상 거부한 채 상병·김건희 여사 특검법에 대해선 극명한 인식 차를 드러냈다. 국민의힘 정희용(성주·고령·칠곡) 수석대변인은 기자회견 직후 논평을 통해 “윤 대통령이 기자회견을 통해 지난 2년간의 정책 과정과 성과를 국민 앞에 소상히 설명했다”며 “국민께서 궁금해할 모든 현안에 대해 대통령의 진솔하고 허심탄회한 입장을 직접 들을 수 있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정 수석대변인은 “서로 간 입장 차가 있는 여러 특검 등 사안을 두고는 특검의 본질과 취지를 강조하며 진상을 밝히기 위한 엄정하고 공정한 수사와 함께 협조의 뜻을 구했다”면서 “이제는 갈등이 아닌 협치, 정쟁이 아닌 소통, 미래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는 대통령 기자회견 관련 긴급 입장 발표를 통해 “정부가 책임져야 할 사안은 국회로 떠넘기고 본인이 책임져야 할 사안은 회피했다”며 “윤석열 대통령은 민심을 수용하고 변화할 기회를 스스로 걷어찼다”고 혹평했다.
박 원내대표는 다만 금투세 폐지나 저출산부 신설과 관련해 협치 가능성은 열어뒀다. 박 원내대표는 “저출생 전담 부서를 만들겠다고 한 것은 전향적으로 찬성하며 이 문제 해결을 위해 함께할 부분은 전향적으로 함께하겠다”면서 “금투세 폐지는 조세 정의와 국민이 원하는 게 무엇인지 잘 파악해서 신중하게 대응하겠다”고 언급했다.
민주당 한민수 대변인은 국회에서 “언제까지 고집불통 대통령의 모습에 국민이 절망해야 하느냐”며 “윤석열 대통령의 취임 2주년 국민보고는 우리 국민 누구도 공감할 수 없는 자화자찬으로 채워졌다”고 비난했다.
윤 대통령이 야당이 요구하는 김 여사 특검법과 채 상병 특검법을 사실상 반대한 데 대해 “김 여사가 불가침의 성역임을 다시 한번 확인했고 순직한 해병대원에 대한 특검법조차 이미 수개월째 제자리걸음인 수사기관의 수사를 믿고 지켜보자는 말로 국민을 허탈하게 했다”고 비판했다.
조국혁신당 김보협 대변인도 “윤 대통령은 하나도 변하지 않았고 변할 생각이 없음이 확인됐다”면서 “9일 회견에 기대하지 않았기에 실망할 것도 없다. ‘벌거벗은 임금님’ 치하에서 3년을 버텨야 하는 국민의 신산한 삶이 걱정될 뿐”이라고 설명했다.
국민의힘 유승민 전 의원도 야당의 비판 행렬에 함께했다. 유 전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윤 대통령의 담화문과 기자회견을 보면서 갑갑하고 답답했다”며“기자회견에는 총선 참패에서 어떤 교훈을 깨달았고 앞으로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가 없었다”고 분석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김건희 특검법도, 채상병 특검법도 모두 거부해 지난 대선때 ‘특검을 거부하는 자가 범인’이라고 말했던 사람이 바로 윤 대통령”이라며 “중요한 질문에는 동문서답하고 여론에 떠밀려 마지못해 야당 대표를 만나고 하나마나한 기자회견을 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김영태기자 piuskk@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