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방산업 경기 악화·외국산 저가 철강재 유입으로 이중고<br/>2분기 매출 저조 대비 고부가제품 생산 등 대책 마련 부심
그 돌파구로 설비 투자를 통한 고부가 제품 생산 등 다양한 전략을 늘리는 마련하고는 있으나, 대내외 경기 하락으로 당분간 철강업계의 고민은 깊어질 전망이다.
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포스코의 올해 1분기 매출은 15조4420억원, 영업이익은 3390억원이다. 이는 전년 동기와 대비해 매출은 6.9%, 영업이익은 17.3% 감소한 것이다. 현대제철은 매출 5조9478억원, 영업이익 558억원을 나타냈다. 전년 1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6.9%, 영업이익은 무려 83.3% 줄었다. 동국제강은 매출 9273억원, 영업이익 525억원을 기록했다. 동국제강 역시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7.4%, 영업이익은 33.1% 감소했다.
국내 철강을 대표하는 3사의 업황 부진은 4월 들어서도 계속되고 있어 올 2분기 매출과 영업이익 역시 내리막길이 불가피하다. 철강업체들의 실적 부진은 고금리, 아파트 분양 저조 등 건설 경기 악화, 완성차 수요 위축 등을 포함한 전방산업의 하강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산업 활동 동향에서도 확인된다. 지난 3월에는 전체 산업 생산이 2월보다 2.1% 감소했다. 특히 금속가공은 10.6%나 줄어들었고, 건축 -9.5%, 특수산업용 기계 등 기계류 -7.8%, 토목 -6%, 자동차 등 운송장비 -2.9% 등 철강재가 많이 쓰이는 산업군의 생산하락이 두드려졌다. 중국과 일본의 저가 철강 제품 대거 유입도 국내 철강업체들의 시름을 더하고 있다.
관세청과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산과 일본산 철강재 수입은 각각 873만t, 561만t으로 전년보다 29.2%, 3.1% 늘어났다. 올해에는 일본 제품이 엔저 효과로 가격이 떨어져 경쟁력을 확보한 상태라 국내 수입의 증가가 예상된다. 이미 최근 수입산 열연강판 은 국내산보다 5∼10% 낮은 가격으로 시장을 잠식해 들어가고 있다. 올해 1분기 평균 원·달러 환율이 1331.66원으로 지난해 4분기(1321.24원)보다 높아 철강재 원료와 연료 구매에 환차손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도 철강업계의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대목이다.
철강업계는 업황 부진이 지속되면서 비상이 걸려 있다.
불요불급한 지출은 최대한 줄이며 포스코는 임원들의 임금까지 삭감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 고로 구축과 설비 투자 등을 통한 생산성 향상과 신기술을 도입한 고부가 제품 개발 등 철강 본연의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팔을 걷어붙이고 있다.
실제 어려운 가운데서도 포스코는 포항제철소 4고로 노후 설비를 오는 6월까지 신예화하기로 했고, 현대제철은 올해 설비 투자에 2조원을 투입키로 하는 등 나름의 다양한 대책을 마련하며 생존 방안을 찾아 가고 있다.
/이부용기자 lby1231@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