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시가 장애인의 복지 향상과 안정적인 생활 보장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시는 고향 사랑 기금을 연계해 장애인 보호자가 긴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대신 장애인을 돌볼 수 있도록 1일 4시간, 연 50시간의 ‘긴급 돌봄서비스’를 제공한다.
또 ‘장애 친화 산부인과’를 대구·경북 최초로 차의과대학교 부속 구미차병원에 지정해, 구미 시민과 함께 인근 지역의 여성장애인들을 포함한 모든 여성이 안심하고 임신과 출산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기존 특별교통수단(부름콜)과 함께 ‘바우처 택시’를 도입해 교통약자의 이동권 보장 강화에도 앞장서고 있다.
바우처 택시는 일반영업 택시가 보행상 장애인 등 교통약자의 호출을 받아 이동 서비스를 지원하는 택시로, 비 휠체어 이용자를 대상으로 오전 8시부터 밤 10시까지 운행 중이다.
이밖에도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경상북도 발달장애인 훈련센터와 연계해 직업훈련생을 위한 주택을 지원하는 ‘발달장애인 직업훈련 연계 주택’은 현재 총 6명의 훈련생이 생활 중이며, 졸업생 중 60%가 취업에 성공했다.
시는 장애인과 노인, 영유아, 임산부 등 전체 인구의 21%에 달하는 보행 약자를 포함한 모든 시민이 공공시설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구미형 무장애 도시 만들기’에도 나선다.
시는 무장애 도시 조성 조례 일부 개정을 추진 중이며, 추진위원회 구성과 운영을 통해 체계적으로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총 1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보행환경 △교통시설 △휴식 문화시설 등을 개선한다.
김장호 구미시장은 “장애인을 위한 신규 시책 발굴·지원으로 양질의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며, 단단한 인프라 구축을 통해 장애인들이 지역사회 이웃으로 함께 살기 좋은 구미시를 만들겠다”고 했다.
한편, 구미시의 등록 장애인은 총인구의 4.23%인 1만7141명으로 시는 이들에게 다양한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제공해 사회적 포용과 공정성 실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김락현기자 kimr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