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심시간의 국숫집이 분주하다. 나지막한 기와지붕의 식당은 벗어놓은 신발들이 제 짝을 찾을 수 있을까 싶을 정도였다. 겨우 빈자리를 차지한 우리는 식당아주머니를 대신해 컵과 물병을 가져왔다. ‘이모!’ 걸쭉한 중년 남자의 목소리다. 머리 희끗한 남자는 자기보다 나이가 적어보이는 아주머니를 이모라 부른다. 친구는 그를 힐끗 쳐다보았다.
그녀는 젓가락으로 뜨거운 국수 가락을 휘휘 저으며 한마디 했다.
“왜 이모를 식당에서 찾는대?”
나는 혹시나 누가 들었을까봐 곁눈질로 돌아보았다. 다행히 입으로 들어가는 국수의 뜨거운 열기로 친구의 목소리는 멀리가지 않았다. 여전히 이모를 찾는 다른 사람의 소리가 여기저기서 들렸다. 식당종업원을 이모라는 호칭으로 불러 기분 나쁘다는 친구에게 나는 얼마 전에 아들이 한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모처럼 집에 온 아들이 대학동기 모임에 다녀왔다고 했다. 일찍 결혼한 친구가 아기를 안고 왔다. 여자 친구들이 목련꽃 봉우리 같은 아기의 볼을 부비며 서로 안으려 했다. 겨우 옹알이 하는 아기에게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이모’라 불러보라고 야단이었다. 옆에 있었던 아들이 ‘고모’라 불러야 한다고 거들었다. 우리는 아기아빠의 친구니까 고모가 맞지 않으냐는 말에 그래도 이모가 좋다고 했다.
타오르는 모닥불 앞에서 불멍을 하던 친구들이 낮에 했던 이야기를 꺼냈다. 이모는 편한데 고모는 왠지 마음이 불편하다는 것이다. 그러자 여기저기서 자기도 그런 느낌이라면서 ‘왜 그렇지?’ 라는 주제로 이야기가 이어졌다. 친한 건 고모인데 편한 건 이모라는 말에 모두 동의를 했다. 이해가 안 된다고 하자, 평소 별로 말이 없던 한 친구가 캔 맥주를 하나씩 던져주며 말했다.
“왜긴 왜야, 내 엄마가 고모보다 이모가 편하니까 그렇지.”
잠시, 자기 집안을 돌아보는지 조용했다. 자식들은 엄마의 지나온 길을 기억한다. 자기한테 잘 해 줘도 내 엄마를 힘들게 하는 사람은 좋아하지 않는다는 말에 아무도 반기를 내지 않더란다. 맥주를 단숨에 마신 그는 아빠와 엄마 사이가 좋지 않을 때도 아빠가 싫지 않더냐고 되물었다. 여기저기서 고개를 주억거리며 동의했다. 아이들이 엄마가 편해하는 사람을 좋아한다고? 살아온 세월의 깊은 내면에 쌓인 감정이다.
나의 지난 시간, 할아버지 할머니 제삿날이면 고모가 왔다. 제사음식 준비만으로도 바쁜 엄마는 평소에는 보기 힘든 생선구이를 밥상에 올렸고, 새로운 나물반찬 하나라도 더 준비했다. 행여 우리가 예의에 어긋나는 행동이라도 할까봐 주의를 준 터에 우리는 고모가 반가우면서도 조심스러웠다. 우리 형제들의 손에 용돈을 쥐어주었던 고모는 엄마가 모셔야 하는 형님이었다.
이모가 오는 날도 먹을 게 많았다. 엄마는 당신이 동생이라는 위치를 한껏 이용하는 것 같았다. 이모가 오는 날은 김칫거리가 준비되어 있었고, 다듬지 않은 푸성귀가 있었다. 우리는 제비새끼마냥 엄마 곁에 앉아, 이모 손에서 김치쪼가리를 받아먹곤 했다. 남은 양념에 밥을 비벼 입을 호호 불어가며 퍼 먹었던 기억은 푸근함이었다. 엄마는 자식들이 나이만 먹었지 할 줄 아는 게 없다는 둥 흉을 보고, 이모는 자기 집 딸년들도 마찬가지라며 받아주었다.
엄마가 아픈 날이었다. 이모의 손에는 검은 비닐봉지가 들려있었다. 비닐봉지 속의 장어가 작은 체구의 이모를 휘청거리게 했다. 가스 불에 들통을 얹고, 참기름을 두른 이모는 장어를 집어넣었다. 이모와 내가 누르고 있던 뚜껑을 젖히고 튀어나온 장어가 온 주방을 휘저었던 그날, 우리는 숨이 넘어가도록 웃었다.
국숫집을 나오며 나는 친구에게 저 남자들도 고모보다 이모가 편한가보다라고 했다. 그러자 친구는 요즘은 이모, 고모 없는 애들이 많은데, 이모가 식당아줌마인 줄 알게 될까봐 겁난다고 했다. 나는 말없이 그녀를 쳐다보았다. 돌아가신 이모가 보고 싶은 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