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국권 찬탈 치욕의 현장, 나무는 모두를 지켜봤다

등록일 2024-05-01 18:29 게재일 2024-05-02 14면
스크랩버튼
(27)  일본 통감 관저 기억목(記憶木) <br/>        느티나무·은행나무 노거수
남산둘레길 숲.
남산둘레길 숲.

전국에 비가 내린다는 일기예보는 어긋났다. 왜 빗나간 일기예보가 이렇게 기쁠까. 문경회(文卿會·퇴직공직자 모임) 회원들은 서울 나들이로 월드컵경기장을 관람하고 남산공원에 있는 시립서울 남산유스 호텔에 숙박했다. 아침 식전에 남산공원 둘레길을 산책했다.

서울 한가운데 자리 잡은 남산 공원 둘레길은 울창한 숲속에 잘 다듬어져 있었다. 녹색 상큼한 향기 마음껏 만끽하지도 못하고 국립중앙박물관 관람 관계로 중도에 멈추고 되돌아와야 했다. 진한 아쉬움이 남았다.

언제 또 기회가 있을지 모르는 일이고 보면 아쉬움이 컸다. 오늘 모든 모임 일정을 마치고 딸아이 집에서 자고 내일 오후에 대구로 갈 기차표를 예매해 둔 상태였다. 때를 기다리기보다 기회를 만들면 된다. 다음날 서울 남산공원 둘레길을 산책하기로 마음을 먹었다.

서울을 방문하는 관광객이라면 누구나 꼭 한 번쯤 가보고 싶은 곳, 연인들이 사랑을 맹세하는 도심 속 로맨틱한 섬 서울 남산타워가 정상에 우뚝 서 있는 남산공원일 것이다. 그러나 많은 사람이 남산케이블카, 남산타워만 생각하고 산책로인 둘레길을 놓치는 경우가 많아 안타깝다는 생각이 들었다.

 

서울 남산 둘레길 초입 ‘통감 관저 터’엔

400살 은행나무와 450살 느티나무가

감시하듯 좌우로 서 오가는 이 지켜봐

빗돌에 새겨진 ‘경술국치’ 뼈아픈 역사

노거수 상징물로 잊지 말고 되새겨야

기억의 터, 통감관저 터의 은행나무 노거수.
기억의 터, 통감관저 터의 은행나무 노거수.

서울 남산공원 둘레길은 북측 순환로와 남측 숲길을 연결한 7.5㎞로 1시간 반이면 걸을 수 있는 도심 속 산책길이었다. 지하철 4호선 명동역을 이용하면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누구나 쉽게 찾을 수 있다. 남산공원 둘레길은 사계절 아름다움을 연출하지만, 특히 봄에는 벚꽃, 개나리, 철쭉이 흐드러지고 피어 꽃길로 수놓았다.

흩날리는 꽃비를 맞으며 걷다 보니 일상에 지쳐있던 발걸음은 어느 때보다도 경쾌하고 가벼웠다. 푸른 나무들이 울창한 숲길을 따라 걷다 보면 간간이 서울 도심을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어 좋았다. 약 3.3㎞ 이어지는 북측 순환산책로는 차와 자전거의 통행이 전면 금지되고 오직 보행자만 걸을 수 있는 순수한 산책로였다. 복잡한 서울 도심에 이런 조용한 숲길이 있다는 것 자체가 신기할 정도였다.

숲길 걷는 것을 좋아하는 나는 남산 둘레길을 완주하고 정상에 올라 있었다. 아름다운 서울이 한눈에 내려다보였다. 서울은 세계 어느 나라 수도 못지않게 발전하고 아름다운데 왜 내 마음에는 남산 둘레길 초입에서 만난 침묵하는 관저 느티나무와 은행나무 노거수가 긴 여운을 남길까. 옛 일본 통감 관저 오른쪽에는 느티나무가 왼쪽에는 은행나무가 형제처럼 살고 있었다. 임진왜란을 전후로 남산 기슭에 느티나무가 먼저 태어나 살고 있는데 누군가 은행나무를 이곳으로 옮겨 형제처럼 살아가게 했다.

지금은 관저 건물은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그 자리에 ‘기억의 터’와 ‘통감 관저 터’ 빗돌만 세워 놓았다. ‘기억의 터’는 강제로 꽃다운 나이에 낯선 곳으로 끌려가 갖은 치욕을 당한 위안부를 잊지 말자고 이곳에 빗돌을 세웠다고 했다.

‘통감 관저 터’ 빗돌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었다. “일제 침략기 통감 관저가 있었던 곳으로 1910년 8월 22일 3대 통감 데라우치 마사다게와 총리대신 이완용이 강제 병합 조약을 조인한 ‘경술국치’의 현장이다.”

기억의 터, 통감관저 터의 느티나무 노거수.
기억의 터, 통감관저 터의 느티나무 노거수.

그리고 보면 지금으로부터 꼭 114년 전인 대한제국의 국권이 일본에 공식적으로 넘어간 ‘국치’의 현장이었다. 통감 관저는 조약체결 이후 ‘총독 관저’로 바뀌었고, 1939년 9월 현 청와대 자리에 총독 관저가 신축돼 옮겨가기 전까지 29년간 그 기능을 유지했다고 한다. 당시의 통감인 하야시 곤스케(林權助)의 작위를 기리는 동상이 거꾸로 세워져 있었다. 내게는 그 모습이 하야시 곤스케가 자신의 아니 일본의 잘못을 용서해 달라고 거꾸로 매달려 빌고 있는 모습으로 비추어졌다.

그때 이곳 현장에 있었던 관저와 인물들은 다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지만, 아직도 현장의 역사를 증언하는 관저를 감시한 느티나무와 은행나무 노거수가 살아가고 있다. 총독 관저를 뻔질나게 드나들면서 일본 총독의 개노릇을 하는 것도 모자라 나라까지 팔아먹고 자신의 배를 불린 매국노들이 누군지 노거수는 다 알고 있을 터이다.

밤의 도둑고양이처럼 시도 때도 없이 관저를 찾아 드는 매국노의 숨을 죽인 게다 소리도 노거수는 보고 듣고 기록해 두었으리라. 한편으로는 외침의 봉송 대 연기에 놀라 헐떡이며 말을 타고 오르내리는 순찰대의 말발굽 소리도 보고 듣고 우국충정의 관리도 노거수는 기록해 두었으리라. 언제 나무와 의사가 교환된다면 그 옛날 매국노는 누구고 충신은 누구인지 만천하에 밝혀지리라. 모두가 수치스러움에 입을 다물고 노거수처럼 침묵을 지키고 있는지도 모른다.

왼쪽의 감시인 은행나무는 나이가 400살, 키 21.3m, 가슴 높이 둘레 5.94m이다. 오른쪽 감시인 느티나무는 나이 450살, 키 23m, 가슴 높이 둘레 6.37m이다. 지금은 ‘기억의 터’와 ‘관저의 터’를 내려다보면서 남산 둘레길을 찾는 방문객들에게 역사의 현장을 지키고 있는 증인으로 거듭나고 있다. 아름다운 이곳을 어떻게 알고 여기에 침략국 원수의 관저를 지었는지 모를 일이다.

그 위세라면 궁궐도 강탈할 수 있을 텐데, 겸손을 가장하고 아름다운 우리 강산의 정수를 노리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이제 우리는 느티나무와 은행나무 노거수를 역사의 산증인으로 ‘기억목(記憶木)’으로 이름을 붙여주고 천연기념물 반열에 올려 서울 남산공원 상징물로 자리매김해야 하지 않을지 싶다. 기억목은 귀띔해준다. “자강만이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거라며, 누굴 원망하고 미워하기보다 스스로 잘못은 없는지 그들에게 어떤 빌미를 주지 않았는지 반성부터 해 보라 한다.” 4월의 봄은 나목의 나뭇가지에 푸른 옷을 입히고 꽃을 피워 외침에 희생된 영혼들을 위로하고 있는 것 같다. 봄바람에 숲은 파도처럼 푸른 물결이 끊임없이 출렁인다.

서울처럼 한 나라의 수도가 산으로 둘러싸인 곳은 세계적으로도 보기 드물다. 높고 낮은 산이 병풍처럼 두르고 푸른 한강이 그림처럼 흐르는 서울의 중심에 우뚝 자리한 남산은 우리나라의 보배이다. 남산 정상에는 사랑의 자물쇠가 빼곡히 달려 있었다. 열쇠를 통에 넣어버렸으니 잠긴 자물쇠는 영원히 열리지 않는 것처럼 사랑 또한 지속될 것이다. 일제강점기의 아픈 역사를 증언해 줄 느티나무, 은행나무 노거수를 이제는 기억목 노거수로 남산의 상징물로 천년만년 살아가기를 희망해 본다. 서울 남산공원 둘레길 산책하면서 우리의 아픈 역사 현장을 지키고 있는 노거수를 보고 다시는 그런 일이 없도록 다짐해 본다.

목멱산(木覓山) 봉수대

 

전국의 봉수가 집결되었던 곳으로 경봉수(京<712F>雄)라고도 불렸다. 봉수제도는 신호체계에 따라 연기나 불을 피워서 변방의 긴급한 사정을 중앙까지 전달하여 알리며, 해당 지역의 주민들에게도 알려 빨리 대처하도록 하는 일종의 통신수단이다.

산봉우리에 봉수대를 설치하여 불을 피워서 낮에는 연기, 밤에는 불빛으로 신호를 알아볼 수 있도록 하였다.

제1 봉수대는 함경도-강원도-양주 아차산, 제2 봉수대는 경상도-충청도-광주 천립산, 제3 봉수대는 평안도 강지-황해도-한성 무악 동봉, 제4 봉수대는 평안도 의주 황해도 해안-한성 무악 서봉, 제5 봉수대는 전라도-충청도-양천 개화산에 이르는 봉수를 받았다.

 

/글·사진=장은재 작가

수필가 장은재의 명품 노거수와 숲 탐방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