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다고 우쭐할 것도 없고
알았다고 깔깔거릴 것도 없고
낄낄거릴 것도 없고,
안다고 알았다고
우주를 제 목소리로 채울 것도 없고
누구 죽일 궁리를 할 것도 없고
엉엉 울 것도 없다
뭐든지 간에 하여간
사람으로 붐비는 앎은 슬픔이니―
그게 활자의 모습으로 있거나
망막에 어른거리는 그림자거나
풀처럼 흔들리고 있거나
그 어떤 모습이거나
사람으로 붐비는 앎은
슬픔이니….
― 정현종, ‘사람으로 붐비는 앎은 슬픔이니’ 전문 (‘한 꽃송이’, 문학과지성사)
1992년에 발간된 정현종 시인의 시집 ‘한 꽃송이’에 수록된 이 시는 어렵지 않게 읽힌다. 하여간 단박에 읽히는 행간은 읽을수록 점점 더 쓸쓸해지고 점점 더 냉소에 다가가고 있다. 아름답고 쓸쓸한 내면의 슬픈 고백이다. 이때 슬픔이라는 고백은 어떤 지향점을 잃고 싶지 않은 마음의 뒷걸음질 같은 아이러니한 행보와도 무관하지 않다. 말하자면 이 시는 내면의 로드이미지라고 할 수 있다.
안온한 체념과 정직한 성찰의 분위기가 묘하게 공존하는 이 시는 제목 ‘사람으로 붐비는 앎은 슬픔이니’가 환기하는 정서부터 예사롭지 않다. 온통 통념에 휘둘리는 존재로서의 인간에 대한 관찰과 성찰을 대변하는 세계의 핵심을 보여주고 있다.
시인이 던지는 질문들은 “활자의 모습”이거나 “망막에 어른거리는 그림”이거나 “풀처럼 흔들리는 / 그 어떤 모습”이건 모두 슬픔이라고 했다. 설령 그것이 어떤 대단한 명성을 담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잠깐 머물거나 짧게 경험할 수 있을 뿐 결국은 사라져갈 수밖에 없다고 말하는 이 시의 정조는 내내 허무하고 쓸쓸하다. 실제 사람의 삶을 채우고 있는 것들은 본질이 아니라 현상이라고 말하고 있는 듯하다.
사람을 좋아해서 어울리기를 즐겨하지만, 한편으로 숨어버리고 싶을 때가 많다. 누구든 그렇지 않을까. 지고 싶다는 소망을 가져본 적이 있는가, 지지 않으려는 자신의 모습에 환멸을 느낀 적은 없는가. 우열을 가릴 수 없는 창과 방패를 도구로 공격적으로 맞설 것인가. 방어하는 자세로 지독한 디펜더가 될 것인가. 사람은 과도한 경쟁사회에 내몰리게 되면서 피할 수 없는 이 두 가지의 의식적 선택의 기로에 놓일 수밖에 없다.
“사람으로 붐빔 가운데의 앎”은 허명을 단 욕망이 서로 쟁투하는 공간의 그림자를 적출해 보이기도 한다.“사람과 사람이 붐비는 앎”이 주는 피로도는 높다.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에게 필요한 자질이 다양한 것만큼 사람을 견디는 일은 고통스럽다. 세상의 절반이 스스로 현명하다고 생각하며 남을 조롱하지만 실은 절반이 어리석다.
사람에 관해서 때로는 모른 척하는 것이 지혜이고 미덕이라고 조언하는 처세술에 관한 책들이 넘쳐나는 현실은 지독한 블랙코미디이다. “안다고 우쭐할 것도 없고 / 누군가의 사람의 치부를 알았다고 깔깔거릴 것도 / 낄낄거릴 것도” 없다. 그 상대가 경쟁자이거나 경계를 침범한 불안의 대상이라면 그 목청은 높아지기 마련일 터인데 그렇다 해도 “우주를 제 목소리로 채울 것도 없”는 것이다.
시인은 자전 시론집 ‘숨과 꿈’에서 자기 자신 안에 상반되는 힘의 갈등이나 나와 타인의 갈등, 이상과 현실의 불화로 인한 갈등. 세대간 혹은 이념과 계층 사이의 갈등 등 이루 다 말할 수 없는 여러 불화와 갈등이 사람과 사람에게 붐빈다고 했다.
1965년 등단한 정현종 시인(1939)은 참혹한 이데올로기의 폭풍 속을 관통하면서도 그 한편에서 자유의지를 노래하고 철학한 시인이다. 무거운 것을 가볍게 들어 올리려는 노력이 문학의 힘이고, 시라고 했다. 그 힘은 결국 그 자신에게 나온다고. 이 시를 여러 번 반복해 읽다 보면 니체의 ‘위버멘쉬’가 자연스레 떠오르게 되는데, 생각이 거기까지 미치면 이 시의 제목이 궁구하는 세계를 인식하게 된다. 슬픔을 직접적으로 묘사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슬픔의 그림자가 내내 일렁이는 이 시는 그러한 슬픔을 경유하는 현재를 보여주는 듯하다.
“뭐든지 간에 하여간, 사람으로 붐비는 앎은 슬픔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