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날의 변덕스러움은 짐작하기 어렵다. 곡우(穀雨)이자 혁명일이었던 4월 19일, 반팔과 반바지 차림의 청춘들이 길을 메우고, 하늘엔 옅은 황사가 찾아들었다. 창문 열고 질주하는 차량 행렬에서 가까이 다가온 여름 냄새가 짙어진다. 가슴과 등판을 서서히 적셔오는 땀방울이 교정(校庭)에 환하게 피어난 이팝나무 꽃망울과 엇박자로 교차한다.
오후 7시가 넘어서야 비로소 다가오는 황혼이 하루해를 아득한 지평선 너머로 내보낸다. 거기서도 최소 30분 이상 기다려야 까만 어둠이 지상에 깔리기 시작하고, 옅은 어둠은 조금씩 짙어져 마침내 대기가 깊은 침묵에 휩싸인다. 그제야 밤이 시작된다. 불과 두 달 전엔 상상하기 어려웠던 풍경이 날마다 아무렇지도 않게 펼쳐지는 경이로운 시간이 우리 곁에 있다.
그렇게 화사하고 화려한 날들이 토요일 급변하더니 드디어 가느다란 이슬비가 내린다. 아주 느릿하고 가느다란 빗줄기가 서서히 대지를 적신다. 오는 듯 멈춘 듯 봄비는 오락가락 춤춘다. 탱고나 람바다 혹은 루뭄바가 아니라 우아한 왈츠로 봄의 정령(精靈)들을 적셔주고 싶은 모양이다. 그래서 나그네는 우산을 들어야 할지 말아야 할지 망설이는 것이다.
늦은 하오 장을 보러 나갔다가 돌아오는 길, 대문 근처에서 헉, 하는 소리가 폐부에서 절로 밀려 나온다. ‘아니, 저게 말이 되는 거야?!’ 혼잣말한다. 장에서 사들인 물품을 대충 내려놓고 사진기를 들고 다시 밖으로 나온다. 대문의 좌우 담벼락에는 오래전부터 민들레며 지칭개, 광대나물 같은 봄풀 무리가 이리저리 뒤얽혀 살아왔다. 그런데, 이것은?!
작년인가, 차고 넘치는 아스팔트를 대문까지 발라준 청도군의 선심 행정이 무색하게 뽀리뱅이가 돌연 얼굴을 내밀고 빗속에 우아하게 서 있다. 두툼하게 깔리는 아스팔트를 보면서 농촌에서도 콘크리트와 아스팔트가 우점종(優占種)이 되다니, 하며 혀를 끌끌 찼더랬다. 그런데 저 여린 뽀리뱅이는 어떤 연고(緣故)로 아스팔트 한가운데 자리를 잡았단 말인가?!
사람이든 동물이든 풀과 나무든, 모든 생명은 최적의 장소와 시기를 만나야 적절한 생장(生長)과 대물림을 할 수 있다. 이것을 불가(佛家)에서는 ‘시절(時節) 인연’이라 한다. 우연히 만나 인연을 엮는 것도 시절 인연이지만, 가장 적절한 시공간에 두 대상이 마음을 열고 화합함으로써 최상의 인연을 맺는 것을 ‘시절 인연’이라 부른다.
그런데 아무리 좋게 보려 해도 아스팔트 위의 뽀리뱅이에서 시절 인연을 읽어내는 일은 어불성설이다. 생명의 놀라운 자생력과 놀라운 끈기와 투쟁력이 그저 경이로울 뿐이다. 이런 식으로 계절이 바뀌고 다시 가을과 겨울이 지나면 녀석은 색깔과 형태와 향기를 잃고 스러질 게 분명하다. 하지만, 본디 목표 지점 가운데 하나인 종족 보존에는 성공할 것이다.
아스팔트에서 솟아난 뽀리뱅이를 보면서 지구촌에서 살아가는 80억 호모사피엔스를 잠시 떠올린다. 얼마나 많은 사람이 시절 인연을 맞아 환하고 아름답게 나름의 운명과 우주와 만나고 있는지, 궁금해지는 것이다. 봄비 속의 상념이 깊어가는 봄날이 고요하게 지나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