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학습루틴 만들기

등록일 2024-04-17 19:32 게재일 2024-04-18 18면
스크랩버튼
이정옥위덕대 명예교수
이정옥 위덕대 명예교수

작심삼일은 오랜 나의 루틴이었다. 매년 새해가 시작되면 새 다이어리를 얻어 새로운 계획을 야심차게 적지만 한 달을 채 못 넘기고 끝이다. 새 계획을 적어 벽에도 붙여두지만 작심삼일이다. 계획이 구체적이지 않아서일 수도 있고, 아예 못 지킬 계획을 세웠을 수도 있겠으나, 어쨌든 며칠 못가 흐지부지된 것만은 확실하다. 까짓 3일만에 다시 작심삼일하면 되지라며 뻔뻔한 큰소리를 치기도 했다. 바쁜 일 때문이라는 핑계를 대면서 모면하고자 하지만 끈기가 없는 성격 탓을 자책하면서도 좀처럼 고치지 못한 채 살았다.

그런 내가 달라졌다. 지난달 첫날부터 시작한 수영과 서예공부를 단 한 번도 거르지 않고 잘 실행하고 있다. 일단 남아도는 게 시간이니 시간 없어 못한다는 핑계를 쓸 수가 없다. 무엇보다 나와의 약속을 반드시 지켜내어 오랫동안 나의 단점으로 꼽았던 작심삼일 징크스를 깨고 싶은 마음이 더 컸다. 수영은 30년 전에도 한 번 시도한 적 있으나 약 석 달 정도 다니고 그만두었다. 수영 시간 앞뒤로 챙길 게 많아 번거롭다는 핑계거리가 있었지만 끈기 부족 탓이 더 컸다. 퇴직 후에 다시 시작해보리라 했으나 코로나로 수영장이 문을 닫아 시작하지 못했다. 최근 집 부근의 수영장이 재개장해서 곧바로 등록했다. 수영을 평생 할 운동으로 꼽겠다는 의지로 매일반으로 등록했다. 옛날 배운 적이 있어 몸이 기억할 것이고, 쉽게 잘할 수 있으리라 했으나 그렇지 않았다. 한 달 이상을 초급반에서 물 먹고 숨가쁘긴 하지만 결석 않는 것이 최우선 목표다.

붓글씨 공부 역시 나의 은퇴 후 버킷리스트였다. 마침 대구한글서예협회장이신 최민경 교수님을 만난 고마운 인연으로 작년 7월부터 한글서예를 배우게 되었으나 2주만에 중단했다. 예의 그 못된 버르장머리, 작심삼일이 발동한 것은 아니었을까. 손녀 유치원 등하원, 허리 통증 등 이런저런 핑계가 생겨 버렸다. 그러나 3월부터 작심하고 시작하였다. 1주일 두 시간 공부하고, 집에서 매일 한 장씩의 숙제를 꼬박꼬박 챙기는 습관을 계속 유지하고 있다.

배우고 익힌다는 뜻의 학습(學習)은 논어의 첫 문장 학이시습(學而時習)에서 나온 말이다. 학습의 반대어는 학문이나 기예를 가르친다는 뜻의 교수(敎授)다. 대학에서 전문학술을 가르치고 연구하는 사람을 일컫기도 한다. 그러고 보니 학습보다 교수하면서 40여 년을 살았다. 물론 가르치기 위해 열심히 공부하여야 했지만 학습이 목적이지는 않았다.

오로지 나의 몸을 위한 수영을 학습하고, 나의 글쓰기 기량을 위한 학습을 해보니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습(習), 익히는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영국 런던대 심리학과 연구팀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좋은 습관이 드는데 걸리는 시간이 평균 66일이라고 한다. 물론 개인차가 상당하여 자기관리를 잘하는 사람은 18일만에, 못하는 사람은 254일이나 걸린다고 한다. 이제 시작한 지 달 반이 지났고 아직은 순항 중이다. 내가 평균에 드는 사람이면 좋겠다. 66일이 지나 수영과 서예가 좋은 습관이 되어 평생 가면 더 좋겠다는 간절함이 있다. 작심삼일은 훌쩍 지났으니 왠지 조짐은 좋다.

이정옥의 신황금기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