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봄부터 모두의 집에 나무며 꽃을 심고, 텃밭을 가꾸면서 오일장을 자주 가게 되었다. 달성군에만 해도 규모가 큰 오일장이 몇 있고, 인근의 군 단위 지역의 오일장도 꽤나 크게 열려서 가볼 만하다. 오일장날을 메모해 두고 장을 찾아다니는 재미를 누린다. 인터넷에 전국오일장 앱도 있어 다운 받아 두었다. 현풍 장은 5일과 10일, 화원 장은 1일과 6일, 인근 성주 장은 2일과 7일이고, 4일과 9일엔 고령 장이 선다. 작년부터 남편은 주로 꽃나무와 연장을 둘러보고 사는 재미에 오일장에 푹 빠진 듯했다. 미리 날짜를 검색해 두고는 작정하고 오일장을 찾아가서는 나무 몇 그루를 사오곤 했다. 그렇게 사서 모두의 집에 심은 나무가 10여 그루는 넘을 것이다. 올봄 들어서는 모두의 집보다 이사한 아파트의 베란다에 둘 나무를 수집하듯 사오니 더 이상 둘 곳 없이 빼곡하다. 이 장 저 장 다니며 나무 구경하고 흥정하고 상인들과 이런저런 얘기를 나누는 것에 재미를 느끼는 같다. 남편이 장을 보는 것이 내겐 낯설지가 않다. 어릴 적 외할아버지와 몇 년 전 영양고택 어르신이 제삿장을 보는 걸 익히 본 적 있기 때문이다.
나는 텃밭에 심을 채소 모종에 관심이 있다. 이맘때쯤 심을 모종의 가짓수는 얼마나 많고 또 심고 싶은 채소도 많아 골라와 심는 재미가 쏠쏠하다. 작년엔 방울토마토, 오이, 가지, 고추와 상추는 기본으로 심고, 명이나물, 고수, 청겨자를 심었다. 더러는 따 먹었으나 오이와 가지는 손가락 정도로 열매 맺는 걸 봤을 뿐이다. 거름을 하지 않은 탓이 컸다. 올해는 작년같은 실패를 다시 하고 싶지 않았다. 지난 주 고령 장에 가서 살충제와 영양제가 섞인 비료를 사와 미리 뿌리고, 검은 비닐로 덮어 텃밭을 손질해 두었다. 며칠 후 현풍장이 서는 날, 채소 모종을 잔뜩 사올 참이다. 현풍 장에 채소 모종이 가장 많다는 걸, 이 장 저 장 다녀 본 한 해의 미립으로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시장엔 간식거리도 많은데 듬뿍듬뿍 쥐어주는 맛보기를 얻어먹기도 뭣해 이것저것 사게 된다. 유과보다 거칠게 만든 넓적한 과즐이며, 돼지감자 튀김도 먹을 만하다. 화원 장에선 거창농장에서 바로 나왔다는 달걀을 보면 무조건 사야 한다. 값도 싸거니와 싱싱한 게 꽤 오래 냉장고에 두어도 노른자가 유독 짙고 탱글탱글하다.
장보는 재미만큼이나 쏠쏠한 것이 장터음식이다. 현풍장과 성주장은 수구레국밥이 유명하다. 수구레는 소가죽 껍질과 고기 사이의 부산물이라는데, 그걸로 끓인 국이라고 했다. 값비싼 소고기를 못 먹는 서민들이 싸게 먹을 수 있었던 국밥이다. 가게 앞에 늘어있는 커다란 국솥에서 허옇게 오르는 김 사이로 식당으로 들어가서 국밥을 시켜 먹어 봤다. 쫄깃하게 씹히는 맛이 있다는데 난 살짝 구린내 나는 그 맛이 역해 두 번 다시 먹지는 않았다. 그래도 고령 장의 뒷고기는 싸고 맛있다. 장터 길가에 함부로 놓여있는 둥근 양철식탁, 그 가운데 벌겋게 달아오른 연탄불 위에 석쇠를 얹고 구워 먹는 뒷고기를 작년 처음 먹어 보고 푹 빠졌다. 고령 장을 갈 때마다 찾게 되는 뒷고기 식당에 앉아 연탄가스 냄새를 맡으며 고기를 굽고 있으면 마치 장돌뱅이가 된 느낌이 들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