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해송숲 마른 수풀 위 겨울 햇살이 내려앉다

등록일 2024-02-28 18:17 게재일 2024-02-29 14면
스크랩버튼
수필가 장은재의 명품 노거수와 숲<br/>(18) 울진 월송정(越松亭)숲과 노거수
노거수들이 만들어낸 울진 평해 월송리의 겨울 풍경.

텅 빈 푸른 하늘 아래 겨울 바닷가 해변의 숲, 울진 월송정 숲을 찾아 걷는다. 겨울은 비움의 계절이다. 높고 넓은 파란 하늘도 텅 비었다. 하늘을 뒤덮은 뭉게구름도 볼 수 없다. 깊고 넓은 푸른 바다도 조용하다. 바다는 적막한 해변을 끊임없이 속삭이며 수만의 동굴을 배 불릴 뿐 해변을 삼킬 듯 성난 파도의 흰 물보라는 볼 수 없다. 금빛 모래밭 해변도 조용하다. 밀물처럼 밀려오던 피서객 인파도 썰물처럼 빠져나가고 하얀 모래만 햇볕에 반짝인다. 들판도 텅 비었다. 누렇게 익은 황금벌판의 벼들도 볼 수 없다. 수풀로 속이 꽉 찬 산도 속살이 훤히 들여다보일 정도로 휑하다. 자연은 모두 비우고 있는데, 우린 무언가 잃어버린 것 같이 허전하고 쓸쓸하여 그 무언가를 채우고 싶은 욕망에 몸부림친다.

 

소나무 노거수 도열해 관광객들 맞이

팽나무와 보호수 느티나무 등 터 잡아

겨울철 앙상하게 뻗은 가지들 춤추고

습지 생태 탐방길 오르면 사구습지 등

솔바람·파도소리·흙냄새 자연미 뿜뿜

관동팔경 ‘월송정’ 나홀로 즐거운 여행

도시 번화가의 뒷골목을 헤매고 때론 유명한 고적의 문화재와 관광지를 찾아 먹거리 볼거리 머물 곳을 찾지만, 이 모두가 우리 본연의 외로움을 채워주지는 못한다. 오히려 말초신경만 자극할 뿐 다음 날이면 후유증에 그 대가를 톡톡히 치른다. 이열치열이란 말이 있듯이 비움의 계절, 겨울에 우리 또한 비움으로 쓸쓸함과 그 외로움에서 벗어날 수 없을까.

울진 평해 월송리 겨울 바닷가 송림은 여름의 무더운 열기도 가을의 곱게 물든 단풍잎도 사라지고 텅 빈 나의 가슴을 채워줄 것이라고는 어디에도 보이지 않는다. 어찌 생각해 보면 채우려면 비워야 하고 비워야 채워지는 법이 아닐까.

지난 가을 이곳을 찾아 습지 생태 탐방길을 걸었다. 조류 탐조대에 올라 주변을 살펴보았을 때 사구습지 내 갈대와 마름의 싱싱한 자태는 사라지고 볼품없는 몰골만이 모습을 드러내 보였다. 사구습지는 생태학적으로 유의미한 곳이다.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파도에 생성된 사구로 인하여 뒤쪽 배후에 습지가 생긴 것으로 그리 흔치 않다. 삭막한 사구습지가 강한 동류의식과 연대감으로 다가와 외로운 내 마음을 위무했다.

해송으로 밀집된 숲속 마른 수풀 위로 겨울 햇살이 내려앉아 한낮의 오수를 즐기고 있다. 솔바람과 파도 소리가 정겹다. 맑은 하늘, 푸른 바다, 흰 모래밭, 늘 푸른 소나무 숲은 흐린 동공을 맑게 한다. 눈길을 끄는 화려한 물상들이 보이지 않으니, 생각의 샘물이 가슴을 적시며 온몸을 타고 흐른다.

월송정 솔밭 길.
월송정 솔밭 길.

나뿐만 아니라 누구나 할 것 없이 너무 많은 것들에 대해 걱정하고, 너무 많은 일을 하고 있다는 생각이 문득 든다. 미래의 행복을 꿈꾸면서 현재의 몸과 영혼을 파괴하는 일을 하고 있지 않은지 되돌아본다, 있다면 지금 멈추어야 한다. 지금을 최고의 멋진 순간으로 만들어야 한다. 내려놓고 비울수록 더 많이 행복해질 것이다.

미래만을 위해 달려가는 것도, 과거의 일들에 괴로워하는 것도 멈추어야 한다. 그래야만 시간적 여유와 마음의 평화를 가질 수 있다. 멈춤은 과한 욕망을 내려놓는 것이고 이것은 바로 비움에서 시작된다. 과거 현재 미래가 하나의 같은 시간대라는 평범한 진리를 왜 잊으며 살아갈까.

숲을 빠져나와 바라보이는 곳에 팽나무 노거수가 있다기에 찾았다. 원추형의 팽나무가 느티나무 노거수와 이웃하여 살아가고 있었다. 팽나무와 느티나무 노거수는 소나무 숲 가장자리에 자리를 잡고 있었다. 느티나무는 보호수로 지정되었으나 팽나무는 아직 무명의 노거수로 서러움에 가지를 흔들고 있었다. “느티나무 노거수보다 내가 무엇이 모자라는가?”라고 말하고 있는 것 같았다.

팽나무 노거수는 가지가 조화롭게 뻗어 그 모습이 아름다웠다. 여름에 잎이라도 무성히 있다면 정말 풍성해 보일 것이다. 겨울이라 잎을 떨군 채 앙상한 가지만 겨울바람에 회초리를 들고 허공을 삿대질하고 있다. 하늘에 무슨 원한이 있길래 바람이 불 때마다 회초리를 휘두르는지 모르겠다. 옆에서 푸른 대나무가 함께 소리를 지른다. 응원의 함성이런가. 송림 속에는 멋진 소나무가 숨어 있었다. 이곳 팽나무가 있는 송림과 월정리 생태 습지 숲, 월송정을 연결하여 멋진 풍광을 연출하면 관광자원으로 최상의 자원이 될 것 같다. 사계절 테마 여행길로 안성맞춤이란 생각이 들었다.

관동팔경 중의 하나인 월송정 송림은 입구에서부터 소나무 노거수가 도열해서 맞이했다. 월송정은 여름이면 많은 피서객이 찾아온다. 지금은 텅 비어 허허롭기까지 하다. 월송정에 올라 푸른 바다와 하늘이 맞닿은 수평선을 바라보았다. 겨울 바다 풍경의 분위기에 젖어 들었다. 하늘과 바다가 입맞춤하고 있다. 무슨 사랑의 말을 주고받을까. 아니면 무언으로 애무만 할까. 먼 파도가 밀려와 소리만 지르다 사라진다, 생과 사가 끝없이 이어지는 파도에 묘한 감정이 이입된다. 사라지면 또 새로운 것이 나타나기를 수없이 반복하고 있다. 하늘은 바다를 품고 바다는 하늘을 떠받들고 있다. 월송정 송림 사이로 밤에는 달이 스며들어 잠들고, 낮에는 햇살이 스며들어 한낮의 오수를 즐긴다. 월송정에는 옛 시인묵객이 써 놓은 액자가 걸려 있었다. 아마 월송정의 아름다움을 찬미하는 노래였으리라.

숲속 흙길을 걸으면 불안감과 우울증에 도움이 된다고 하는 말이 생각났다. 현대인 질병의 원인은 잘못된 생활 습관과 과중한 업무에서 오는 스트레스다. 숲속의 맑은 공기는 우리의 피를 맑게 한다. 맑은 피는 질병을 막아주고 피로를 풀어준다. 발바닥 작은 신경을 자극하여 시각, 후각, 촉각 등 오감이 작동한다. 피트니스 클럽의 러닝머신보다 흙길을 걷는 것이 건강에 더 좋다. 흙냄새는 흙 속 미생물인 방선균이 만들어 내는 휘발성 물질인 지오스민의 냄새로 마음을 편안하게 한다. 지오스민은 숲속 나무가 뿜어내는 피톤치드처럼 심리적 안정을 주는 효과가 있다. 숲은 박테리아와 흙에서 사는 진균류, 나무 등에서 휘발성 테르펜 등 다양한 향기를 뿜어내는 고유한 냄새의 보고이다.

이런저런 이유로 숲에서 비전 퀘스트를 하면 좋을 것 같다. 비전 퀘스트란 자신을 깨닫고 비전을 찾으려는 현대인의 육체적 영적인 숲 여행이다.

미국 환경심리학자 카플린(kaplan)은 ‘비전은 끊임없이 생각하고 그것을 글로 적고, 관찰하고, 숲과 대화하는 과정에서 찾을 수 있다’고 했다. 또 황혼의 하루해가 서산에 저물면 숲속의 바람 소리와 함께 나즐로(나 홀로 즐겁게) 여행의 발걸음도 멈춘다. 나그네와 숲은 어둠 속에 잠이 든다. 욕망에 몸부림치던 영혼도 겨울의 비움을 깨닫고 봄을 기다리며 함께 평화롭게 잠이 든다.

 

울진 월송리 습지생태 숲.
울진 월송리 습지생태 숲.

습지(濕地)란 뭘까

지구상에서 가장 영양물질이 풍부한 생태계다. 각종 생물의 서식지다. 특히 미생물 및 유기물이 풍부하다. 일반적인 습지의 기능을 보면 수질 정화, 지하수 저장, 침식조절, 생물종 서식처, 산란처 제공, 교육 학습 장소 제공, 홍수 범람원 방지, 물질 생산 등이다.

람사르 협약에서는 습지의 물리적, 생물학적, 화학적 구성요소, 토양물, 식생, 동물간의 상호작용으로 물 저장, 홍수 억제, 호안의 안전성 확보, 침식조절, 지하수 보충 및 유지, 수질 정화, 기후 환경적 안정화 등 생태와 환경에 유익한 기능을 하고 있다고 설명한다. 특히 사구습지는 세계적으로 그리 흔치 않은 습지로 보존할 가치가 충분하다.

/글·사진=장은재 작가

수필가 장은재의 명품 노거수와 숲 탐방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