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공천’ 2차 시험대 오른 한동훈

박형남 기자
등록일 2024-01-28 19:35 게재일 2024-01-29 3면
스크랩버튼
취임 한달, 당정갈등 일단 봉합<br/> 직무 긍정 평가 50% 넘겼지만<br/>‘김건희 리스크’ 불씨 남은데다<br/> 당 지지율마저 ‘정체’… 숙제로

취임 한달을 맞은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이 공천이라는 고차 방정식을 어떻게 풀 지에 관심에 쏠린다. 한 위원장은 당정 갈등이라는 위기를 넘겼으나 봉합한 당정 갈등의 불씨가 공천 판으로 튈 수 있기 때문이다.

한 위원장은 대중적 인지도를 바탕으로 취임 한 달 동안 전국 시도당을 돌며 외연 확장에 주력했다. 특히 윤석열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의 명품 가방 논란을 둘러싼 당정 갈등 국면에서 대권 잠룡으로서의 존재감도 보여줬다. 한 비대위원장은 대통령실의 사퇴 요구를 거부하며 “제 임기는 총선 이후까지 이어지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총선 정국을 이끌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한 위원장에 대한 여론도 우호적이다. 한국갤럽이 지난 23∼25일 1천1명을 대상으로 한 당대표 직무평가 여론조사에서 ‘잘하고 있다’는 응답이 52%에 달했다. 이는 민주당 이재명 대표에 대한 긍정평가(35%)보다 17%포인트 높다. 보수진영에서는 선거의 여왕으로 불렸던 2012년 당시 새누리당 박근혜 비대위원장의 긍정평가(52%)와 견주는 결과라는 점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국민의힘 한 의원은 “수직적 당정관계를 극복하려는 노력이 한 위원장 평가에 도움을 주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한 위원장에 대한 평가와 달리 당 지지율이 정체 상태라는 점은 풀어야 할 숙제다.


나아가 한 위원장의 행보와 별개로 공천 문제가 향후 당 총선 승리 여부를 좌우할 2차 시험대가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한 위원장 취임 이후 혁신공천에 대한 민심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용산 출신 출마자, 친윤계와 비주류, 영입 인사 등 각종 이해관계와 공천 지분이 맞물린 고차 방정식을 풀어내느냐 여부가 최대 관전 포인트다. 이는 국민의힘 대구·경북(TK) 공천 과정에도 절대적 영향을 미친다.


실제 당정 갈등의 원인 중 하나로 한 위원장이 김경율 비대위원의 마포을 출마를 공개 발표하며 빚어진 사천 논란이 꼽힌다는 점은 결국 향후 당정 갈등의 빌미가 될 수 있다. 당내에서는 한 위원장이 외부 위원을 중심으로 공관위를 인선하고 선거 사무의 핵심 포스트인 사무총장에 초선의 장동혁 의원을 배치한 것을 두고도 대통령실의 공천 영향력을 견제하기 위한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잠복해 있는 김건희 여사 관련 이슈도 대통령실과 한 위원장의 향후 대응 방식에 따라 갈등의 불씨로 되살아날 수 있다. 이와 맞물려 당정 관계 재정립 요구가 거듭 불거질 가능성이 있다. /박형남기자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