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고요를 마법처럼

등록일 2024-01-07 19:40 게재일 2024-01-08 17면
스크랩버튼
이희정시인
이희정시인

노래하지 않고

노래할 것을

더 생각하는 빛.

 

눈을 뜨지 않고

눈을 고요히 감고 있는

빛.

 

사랑하기보다

사랑을 간직하며,

허물을 묻지 않고

허물을 가리워 주는 빛.

 

모든 빛과 빛들이

반짝이다 지치면,

숨기어 편히 쉬게 하는 빛,

 

그러나 붉음보다도 더 붉고

아픔보다도 더 아픈,

빛을 넘어

빛을 닿은

단 하나의 빛.

―김현승, ‘검은빛’ 전문 (김현승 시전집, 2005.)

 

검정이 색이 아니라고요? 인상주의 선구자였던 르누아르는 검정은 색의 여왕이라고 반격했다. 검정은 모든 색의 부재, 그래서 색이 아니라는 판정을 받았던 때가 있었기에.

겨울의 감성은 무채색에 가깝다. 한 해를 마치는 것도, 새해가 시작되는 것도 겨울이 하는 일이다. 겨울 속에는 마침과 시작, 어둠과 환희의 빛이 모두 있으므로. 모든 시가 신과 사랑, 혹은 우울을 다루듯이 검은색 또한 혼돈, 신비, 미지, 죽음, 무의식을 품고 있다.

밝음을 나타내기에 검정만큼 역설적인 색이 있을까. 우리의 겨울은 보이지 않는 미지의 색으로 캄캄해서 외려 환하다.

빛의 색인 무지개의 색을 모두 합하면 흰색이 나온다. 검정에는 빛이 전혀 없으며 모든 것은 검정으로 끝난다. 부패한 고기가 검게 변하고 식물이나 치아가 썩어 검게 되는 것처럼. 아무것도 기억할 수 없을 때가 ‘블랙아웃(blackout)’이라면, 김현승 시인(1913~1975)의 검은빛은 “모든 빛깔에 지친 통일의 빛”이다.

시에서 검은빛은 부정적인 이미지가 아니라 재생과 자성의 생명력을 내포하는 긍정적 이미지로 미지의 색이다. 시 ‘검은빛’은 시인의 세계관을 잘 나타내고 있다.

“노래하지 않고,/노래할 것을/더 생각하는 빛”, “눈을 뜨지 않고/ 눈을 고요히 감고 있는/빛”으로 묵상함으로써 고도의 정신적 가치를 지닌 세계를 형상화하고 있다. 도는 언제나 ‘무위’하면서도 하지 않는 일도 없다. 김현승은 꽃마다 색깔을 말할 수도 있고 이름을 물을 수도 있지만 하나로 수렴하여 근원적인 의미를 찾고자 한다. 빛을 넘어 빛에 닿은 단 하나의 빛으로.

김현승은 일제강점기의 암울한 상황을 지나며 시대적 현실을 긍정적으로 변환시킨시인이다. 검은빛은 희망으로 찬란하고 넘치도록 낡은 그림자를 밀어 올리는 역할을 한다. 이때 검정은 검은빛으로 치환된다. 무표정한 검은빛에는 마음속에서 활동하지 못하거나 인간의 감정 중에서 가치가 절하된 것들을 일으키려는 시인의 선한 의지가 잠잠히 괴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사랑하기 보다/사랑을 간직하며,/허물을 묻지 않고/허물을 가리워 주는 빛”으로.

지치고 상처 입은 영혼들아 모두 내게 오라는 위안의 주문처럼 시인의 검은빛이 감싸는 그늘이 평온하다. 세상을 움직이는 건 보이지 않는 한 사람, 한 사람의 깊은 내면이 모인 힘이라고, 그림자처럼 말하고 있다. 우리가 아직 모르는 매우 넓고 깊은 무의식 속에 숨어 있는 무채색 마법은 힘이 세다. 꿈틀거리는 새해가 빛을 물고 오고 있다.

“붉음보다도 더 붉고 아픔보다도 더 아픈, 빛을 넘어 빛을 닿은 단 하나의 빛”

이희정의 월요일은 詩처럼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