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언니가 되고 싶어

등록일 2023-12-20 18:24 게재일 2023-12-21 18면
스크랩버튼
이정옥 위덕대 명예교수
이정옥 위덕대 명예교수

“어머니 이제 다 고쳤습니다.” 컴퓨터를 고치러온 AS기사의 말에 화들짝 놀랐다. 아들들은 엄마 혹은 어무이라 하고 며느리들은 어머님이라 부르니 나는 어머니라 불린 적이 없었다. 그런데 나이가 꽤나 지긋해 보이는 생판 남이 나에게 어머니라니. 얼마전까지는 남자에겐 ‘사장님’, 여자에겐 무조건 ‘사모님’이던 고객응대 매뉴얼이 바뀌었나? 그조차도 거북했었는데 ‘어머니’는 정말 너무하다.

우리나라에선 이름을 함부로 부르는 것은 무례라는 통념이 있었다. 이름 대신 자(字)나 호(號)를 지어 호칭하고 지칭했다. 현대의 조직 내 호칭으로 성에 직함을 붙여 쓰는 것도 그 예이다. 그럼에도 내가 대학을 다니던 70년대엔 이성간의 호칭은 성과 이름을 함께 붙인 OOO씨였다. 누군가가 성을 떼고 OO씨라고 칭하면 그들 간의 사이가 예사롭지 않다고 짐작했고 아니나다를까 그들은 어김없이 훗날 결혼하는 사이가 되곤 했다. 대학 졸업 후 대학에서 강의하였고, 후배대학생들을 만나면서 그들 간의 호칭의 변화상을 목격했다. 80년대엔 남녀 동기간에 서로 형이라고 부르는 걸 봤다. 당시 대학가에 번졌던 소위 페니미즘이 성별 구분없는 중성적 호칭을 선택한 거라 짐작했지만 마뜩찮아했던 기억이 있다.

사회적 관계에서 친족 호칭을 대놓고 사용한 것은 아마도 90년대 후반부터인 것 같다. 대표적인 게 ‘오빠’다. 손아래 여동생이 손위 남자 형제를 부르는 이 아름다운 호칭이 어느 순간 남남인 남녀 간에 통상적이고 지극히 당연한 호칭이 되어버렸다. ‘오빠’라 부르던 남자와 결혼한 후에도 ‘오빠’라 칭하다 아이들이 생겨도 남편을 ‘오빠’라 부르면 아이들과의 관계는 어찌 되나 걱정 아닌 걱정이 되었다. 사회적 관계에 친족호칭을 쓰는 게 온당찮다며 신문 칼럼으로 신랄하게 비판한 적도 있었다. 아랑곳없이 ‘오빠’의 기세는 매우 강력하여 이젠 당당한 사회적 범칭이 되었다. 심지어 나이와 상관없는 ‘오빠부대’도 있잖은가. 어떤 외국인 교수는 한국의 이런 호칭법이 사회적 관계를 가족 관계로 치환하는 아름다운 관습이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하기도 하지만 글쎄다.

‘언니’는 ‘오빠’와는 좀 다르다. 같은 항렬의 손위 여형제는 물론, 남남끼리의 손위 여자를 이르는 정다운 말로 친족 호칭이자 사회적 호칭이기도 하다. 예전엔 남자형제들 간에도 형 대신 사용하기도 했다. 난 오빠와 남동생만 있어 날 언니라 불러 줄 여형제가 없다. 물론 이종과 고종사촌이 있긴 하나 멀리 떨어져 있어 자주 보질 못한다. 어쩌다 그들이 불러주는 ‘언니’는 언제나 정답다. 누가 날 ‘언니’라 더 자주 불러주면 얼마나 흐뭇하고 좋을까. 최근 내방가사 일로 자주 만나 친해진 세 여자가 있었다. 서로를 회장님, 연구원님, 교수님이라 깍듯하게 불렀다. 호칭만 달라지면 더욱 다정한 사이가 될 듯싶었다. 아니, 언니가 되고 싶었다. 언니라 불리고 싶었다. 내가 제일 연장자라며 호칭정리를 제안했다. 나를 언니라고 불러줘요. 다음 모임이 기대된다.“언니, 오랜만이네요.”라고 인사를 건네줄까?

이정옥의 신황금기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