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단정하고 아름다운 배웅

등록일 2023-11-26 16:57 게재일 2023-11-27 17면
스크랩버튼

두루미 날아간다

지인의 모친상에

 

조의금 오만 원 담아 두루미 날아간다

 

늦가을 슬픈 표정은

상가에 다 모이고

 

발인은 내일모레

장지는 하늘공원

 

목깃이 새까매진 다저녁 산마루 위

 

울면서 조문을 가는

희고 빈 봉투 하나

―고영민,‘부의 봉투’(‘가히’ 가을호, 2023)

여기 늦가을 슬픈 표정이 상가에 다 모여 있다. 대저 “생은 어디서 오는 것이며, 가면 어디로 가는 것일까” 한 존재의 소멸은 참으로 사람을 유정(有情)하게 한다. 상가에 모인 조문객들의 슬픈 울음이 내 안에서도 일어나는 듯하다. 이 시가 그대로 내 가슴속에 들어와 어쩌면 내가 그 실경(實景) 속의 주인공이나 된 것 같다. 고영민(1968~) 시인의 ‘조의 봉투’가 그리는 풍경이 그렇다.

이 시는 한 마리의 두루미로 시작된다. 죽음의 슬픔을 조문의 풍경으로 그려내는데 그 특정한 경험을 두루미가 견인하고 있다. 그렇다면 왜 두루미일까? 두루미는 우리나라 휴전선 언저리에서 겨울을 나고 봄이 오면 다시 러시아에 있는 아무르강으로 떠나는 철새다. 죽음이 거느리는 의미의 본질을 제목인 ‘조의 봉투’가 간결하게 요약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그 이유를 알 수 있다. 실제 두루미의 모습은 몸뚱이가 희고 목덜미와 다리는 검고, 날개에도 검은 깃털이 있다. 시에서 “다저녁 산마루”를 “목깃이 새까매진”으로 묘사하며 사실적 이미지를 심상의 풍경으로 병치하고 있다. 여기서 ‘새까매진 목깃’이란 조문 시 매는 검은색 넥타이를 비유한다.

이 시에서 ‘빈 봉투’ ‘두루미’는 같은 자격임을 알 수 있다. 제목 ‘조의 봉투’라는 한 대상이 다른 대상 ‘두루미’ ‘화자’라는 대상들과 포개지며 의미론적 자질을 성공적으로 부여하고 있다. 부고장을 받고 “조문을 가는” 두루미라는 존재는 ‘조의 봉투’이고 동시에 조문을 하는 화자 자신을 상징하기에 이 대상들이 주는 효과는 그림처럼 선명하다. 또한 “조의금 오만 원” “발인은 내일모레” “장지는 하늘공원”이 주는 구체성은 시적 은유와 현실의 거리가 멀지 않음을 알게 한다. 우리가 아는 고영민 시인이 주는 시의 질감이 그렇다. 일상의 진정성을 담담한 어조로 풀어내는 방식은 어느 때나 편안히 등을 기댈 수 있게 한다.

이희정 시인
이희정 시인

하지만 고영민 시인에게 이 시는 색다른 시편일 수 있겠다. ‘문학의 경계란 무엇이고, 어디까지인가’라는 시험지에 응대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등단 장르가 아닌 정형시의 형식에 맞추어 쓰였기 때문이다. 정형시를 전문으로 쓰지 않는 시인이 처음으로 썼다고 해서 특별한 일은 아닐 테지만, 장르의 특성이 주는 작법은 그 방식이 사뭇 다르기도 하기에 시인에게 있어 이 작품은 조금 주의가 필요한 경험이 되었을 것이다. 혹자는 자유시는 펼쳐서 그리는 회화에 가깝고 정형시는 최대한 깎아내는 조각에 가깝다고도 그 차별성을 설명했다. 한 시인이 오랫동안 체화되었던 방식을 벗어나 다른 방식을 대면했을 때 오는 당혹감이 있었을 법하다. 형식 면에서도 지켜야 하는 글자 수와 제한된 보법이 있기에. 그럼에도, 시인은 출제자의 의도를 탁월한 감각으로 그려내고 있다. 그것은 현대정형시는 예전의 고시조와는 다르며 대부분 감상자가 느끼는 차이는 거의 없기 때문이다. 마치 한국화와 서양화가 변주되고 있는 것처럼.

요약하면, 시의 장면은 두루미로 시작해서 희고 빈 봉투로 그림처럼 마무리된다. 세상을 떠나는 망자에게 바치는 마지막 인사가 이처럼 단정하고 아름다울 수 있을까. 그가 택한 두루미는 피상적인 오만 원의 조의금을 담고 있지만, 가없이 단아한 인사로 배웅하고 있다. 그래서 한 생의 무게가 그 슬픔보다 존귀하게 느껴진다.

“울면서 조문을 가는 희고 빈 봉투 하나”

이희정의 월요일은 詩처럼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