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과 하마스의 전쟁은 개전 한 달이 지났다. 전쟁이라기 보다는 이스라엘의 일방적 점령이라 볼 수 있다. 하마스의 무리한 이스라엘 축제장 난입과 200여 명의 인질이 전쟁의 발단이다.
이스라엘군은 탱크를 앞세워 팔레스타인 가자시티를 점령해 버렸다. 정확한 팔레스타인의 피해 상황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벌써 민간인 1만여 명이 피살되었다. 며칠 전 이스라엘군은 가자시에서 가장 큰 알시파병원까지 점령했다. 병원 바닥에서 피를 흘리는 어린 환자, 전기마저 끊긴 병원에서 신생아까지 죽어가며 팔레스타인 부상자는 넘쳐나고 있다.
이집트 국경 남부 라파 쪽으로 밀려가는 피난민 행렬은 우리의 6·25를 연상케 한다. 유엔의 구호품마저 전달되지 않는 이 전쟁의 참상은 전 세계인들을 경악케 한다. 이 전쟁은 누가 뭐라던 이스라엘의 대대적인 보복 전쟁이다. 하마스의 무모한 인질극을 두둔할 생각은 추호도 없다. 귀중한 생명을 앗아가는 이스라엘의 보복 전쟁이 즉각 중단되어야 할 이유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이스라엘의 무자비한 보복 전쟁은 인도주의에 근본적으로 반하기 때문이다. 전쟁은 외형적으로 하마스의 이스라엘에 대한 침범과 인질극에서 비롯되었지만 양측 갈등의 누적된 불만이 표출된 것이다. 전 세계 디아스포라가 되었던 유대인들은 2차 대전 후 1948년 가나안 땅에 이스라엘을 건국한다. 이스라엘의 건국은 수십 세기에 걸쳐 살아온 팔레스타인인들을 쫓아 버리는 비극을 초래하였다. 팔레스타인인들은 현재 이스라엘 외곽으로 밀려나 철조망 안에서 갇혀 사는 신세로 전락했다. 이들 간의 영토 논쟁은 닭과 계란처럼 시작도 끝도 없다. 이번 전쟁은 결국 현대적 장비를 갖춘 이스라엘의 30만 정규군과 3만명으로 추산되는 하마스 간의 전투이며 처음부터 승부가 결정된 전쟁이다. 탱크와 첨단장비를 갖춘 이스라엘군은 이미 1만여 명의 팔레스타인 사람의 생명을 빼앗아 갔다. 이러한 이스라엘의 일방적인 군사작전은 국제법에도 어긋나며 반인도적 전쟁 범죄일 뿐이다.
둘째, 국제 여론도 이스라엘의 침략행위를 비난하고 있다. 미국만이 처음부터 이스라엘의 입장을 지지하고 있다. 이스라엘의 즉각적인 교전중단을 요구하는 유엔 안보리 결의안이 15개국 중 12개국이 찬성으로 통과되었다. 미국, 영국, 러시아만이 기권했을 뿐이다. 다행히 우리 정부도 유엔 총회 결의안에서 미국편을 들지 않고 기권하였다. 이스라엘 정부 입장을 무조건 옹호하는 미국의 처신도 점차 국제적으로 비난의 대상이 되고 있다. 세계 여러 곳의 유대인들은 어디서나 성공했지만 그들의 행위는 시기와 비난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들은 어디에서든 그들 유대 교회에 나가면서 열심히 공부하여 상류층에 진입해 있다. 아인슈타인도 미국의 헨리 키신저도 현 미국 국무장관 블링컨도 모두 유대인이다. 미국에서는 월가를 장악하였고, 프랑스에서는 언론까지 장악하였다. 그러나 유대인들은 수전노라는 별명까지 얻으며 이웃과의 공생의 원리를 잃고 있다. 반유태주의가 퍼지고 국제 여론이 나쁜 이유이다.
셋째, 이 전쟁은 이스라엘 현 총리 벤야민 네타나후의 정치력과도 결코 무관치 않다. 전쟁 전부터 그의 보수 강경 노선은 이스라엘 어디에서나 인기가 없다. 이 전쟁은 그가 유발한 전쟁이라는 비판이 따르는 이유이다. 하마스의 이번 인질극을 네타나후는 그의 실추된 정치력 회복 계기로 삼는 듯하다. 실각 위기에 놓인 그의 정치적 입지를 하마스에 대한 전쟁으로 만회하려는 것이다. 여느 독재자처럼 그는 내우를 외환으로 극복하려는 무리한 술책을 쓰고 있다. 그의 꿈은 이번 전쟁을 가자 지구를 장악하여 이스라엘의 영토 확장의 기회로 삼으려는 듯하다. 이스라엘은 이미 수차례의 전쟁을 통해 서안지구(West Bank)나 골란고원을 점령해 이스라엘 정착촌을 건설하였다. 이번 전쟁도 가자지구의 팔레스타인인들을 이집트의 시나이 사막으로 쫓아버리고 ‘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 땅’을 찾으려는 의도일 것이다.
그러나 이스라엘 총리 네타나후의 꿈은 실현될 수 없다. 우선 이 보복 전쟁에는 수많은 팔레스타인의 무고한 생명이 희생되고 있으며 세계의 여론도 점차 그들 편이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몇 년 전 다윗의 별을 상징하는 이스라엘국기가 광화문 태극기 집회에 등장한 바 있다. 유대인들이 인접 반 이스라엘세력을 무력으로 응징하듯 우리도 북한을 강력히 응징해야 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한국의 일부 극우 편향 종교 집단의 무모한 의도이며 매우 위험한 발상이다. 우리 속담에도 ‘짐승도 도망칠 구멍을 두고 쫒으라’는 말이 있다. 이스라엘의 강력한 무력에 의한 잔인한 팔레스타인 복속은 인륜에 반하는 잠정적 조치이기 때문이다. 장기전이 되면 인접 이슬람 국가들의 동맹을 강화시켜 전면전으로 확전될 가능성도 있다. 이스라엘은 그들이 배척하는 ‘눈은 눈, 이는 이’라는 일부 이슬람의 동태 복수법을 반복해서는 안 된다. 야훼 하느님을 절대적으로 신봉하는 이스라엘은 일단 전쟁부터 멈춰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