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년을 넘게 같이 살았던 강아지 베리가 무지개다리를 건넌 지 49일 되는 날, 묻었다. 모두의 집에서 가장 아름답고 크고 웅장한 소나무 아래에 묻었다. 원래 남편은 베리 나무라며 울릉도에서 사 온 마가목 아래에 묻으려 했다. 정작 베리를 묻으려 보니 묘목같이 어린 마가목은 작아 볼품이 없어 보였다. 난 보리수 아래 볕 드는 곳을 골랐다. 남편의 선택은 소나무였다. 6그루 소나무 중에 가장 보기 좋고, 우리가 자랑스러워하고, 남들도 보면 경탄해하는 수형 멋진 나무였다. 나도 마음에 들었다. 소나무 남쪽 아래 깊이 땅을 파고 조그만 오동나무관을 넣고 흙을 덮고 묘비명을 써서 꽂았다. “사랑하는 베리 영원한 세상에 잠든 곳.”
잦은 병치레로 입원과 수술을 여러 번 경험한 베리였다. 작년 초겨울 암으로 의심된다는 진단을 받았다. 나이가 많아 수술은 힘들었다. 괴롭고 힘든 항암 치료는 견딜지 의문이었다. 며칠 고민 끝에 명을 다할 때까지 잘 먹이며 집에서 돌보기로 했다. 14살이면 사람 나이로 90 노인. 노인 모신다는 생각으로 할 수 있는 정성을 다했다. 겨울을 못 넘길 거라는 예상과 달리 쇠약해지긴 했으나 원체 좋은 식성의 베리는 잘 먹어선지 호전하는 듯했다. 그러나 여름 들어 급격히 기운이 떨어지더니 움직임은 굼뜨고 깔끔하던 배변습관도 망가졌다. 살은 빠져 앙상해졌고 처연한 눈망울만 커졌다. 윤기나던 새까만 털도 푸석해지고, 뒷덜미엔 흰 털이 수북히 자랐다. 입가의 수염도 하얘졌다.
8월 중순 출장으로 부득이 이틀을 비울 일이 생겼다. 그 사이 무슨 일이 있으면 어쩌나. 남편이 전적으로 돌보기엔 무리라 이만저만 걱정도 함께 안고 갔다. 남편은 수시로 사진을 찍어 베리의 동태를 알려주며 날 안심시켰다. 용케도 베리는 견뎌주었다. 돌아온 후엔 안방에서 같이 지내며 며칠 밤을 새웠다. 보통 괴로워하는 게 아니었다. 고통을 견디는 게 힘들어 보였다. 움직이지 못하는 몸을 이리저리 바꿔줄 뿐, 고통까지 나눌 순 없어 안타까웠다. 물기 가득한 큰 눈을 보면 눈물만 났다. 물도 혼자 먹지 못하자, 손주 약 먹이는 약통에 물을 넣어 입가에 흘려주면 겨우 삼켰다. 괴로움의 신음을 며칠 들으니 산 자의 고통이 차라리 죽음만 못한 건 아닐까 생각했다. 새벽 3시. 베리 돌보느라 서로 잠자는 시간을 바꿔가며 쪽잠을 청해 기진맥진 잠들어 있는 남편을 깨웠다. 병원에 연락해 달라고 했다. 남편은 아는 수의사 교수에게 문자를 넣어 베리의 상태를 알렸다. 다음날 오전에 진료 준비할테니 데리고 오라는 문자를 바로 받았다.
일 있던 남편은 내게 베리를 맡겼다. 정작 시간이 되자 혼자 감당하기 어려웠다. 주차장에 주저앉아 남편을 급히 호출했다. 함께 병원에 갔고, 그리고 베리는 내 품에 안겨 무지개다리를 건넜다. 병원에서 소개한 장례식장에서 베리는 한 줌 재로 내게로 와서 집에서 49일을 함께했다. 손주들이 와서 꽃을 놓고 베리 사진을 보며 울먹였다. 손녀는 아직도 가끔 하늘을 보며 베리야 잘있어? 묻는데, 모두의 집에 묻힌 베리의 묘를 보며 뭐라고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