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8강전 응원에 매크로 사용<br/>방통위 “여론조작 시도 우려 커”
지난 1일 열린 우리나라와 중국의 아시안게임 축구 8강전 당시 ‘다음’에서 중국팀을 클릭해 응원한 비율이 한때 전체의 91%에 달해 여론조작 의혹이 불거지자 강경대응에 나선 것이다.
한 총리는 이날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긴급 현안 보고를 받은 뒤 방통위를 중심으로 법무부와 과기부, 문체부 등 관련 부처들이 여론 왜곡 조작을 방지하는 범부처 TF를 꾸려 서둘러 대응하라고 지시했다.
방통위에 따르면, 해당 경기 전후로 다음 페이지에서 클릭된 응원 횟수 약 3천130만건(확인 IP 2천294만건)을 긴급 분석한 결과, 댓글 중 약 50%는 네덜란드를, 약 30%는 일본을 경유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해외 세력이 가상사설망(VPN)을 악용해 국내 누리꾼인 것처럼 우회 접속하거나 매크로 조작으로 중국 응원 댓글을 대량 생성하는 수법이 활용됐다고 분석했다.
방통위는 “국민 여론을 분열시키는 행위가 국내는 물론 해외 세력에 의해서도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확인됐다”며 “드루킹 사태를 비롯해 가짜 뉴스에 의한 대선 조작 시도 등으로 사회적 우려가 큰 상황인 점을 고려할 때 이번 사태의 배후는 경찰 수사를 통해 반드시 밝혀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동관 방통위원장도 국무회의에서 “이러한 여론 왜곡이 네덜란드, 일본 등 외국의 인터넷을 우회한 소수의 사용자에 의해 벌어진바, 국민 여론을 분열시키는 행위가 국내는 물론 해외 세력에 의해서도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확인된 것”이라고 부연했다.
그는 이후 정부과천청사에서 기자들에게 “뉴스타파(김만배 녹취록 왜곡 편집) 보도의 충격이 가지기도 전에 건강한 민주주의를 지키는 공론장을 무너뜨릴 수 있다는 것을 또 보여줘 국민 충격이 정말 크다”라며 “이런 게 방치하면 바로 국기 문란 사태가 된다”라고 지적했다.
국민의힘은 검찰에 수사를 의뢰하는 등 포털을 향한 ‘여론 조작’ 공세를 강화하고 나섰다. 국민의힘 소속 이종배 서울시의원은 이날 오후 2시 서울중앙지방검찰청에 여론조작 관련 혐의자와 다음을 각각 컴퓨터 등 장애업무방해와 공모·방조 혐의로 고발했다.
이 의원은 “불순한 세력이 특정한 목적으로 여론을 조작할 수 있다는 걸 보여주는 것”이라며 “매크로 프로그램을 통해 선거에 영향을 끼칠 목적으로 여론을 조작할 수도 있어 사안이 매우 심각하다”고 주장했다.
/고세리기자 ksr1@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