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안동댐 저수율 88.3%… 불어난 물에 농경지·농로 잠겼다

피현진기자
등록일 2023-09-24 19:37 게재일 2023-09-25 1면
스크랩버튼
수위 158.22m 역대 두번째 높아<br/>산 중턱까지 물 차올라 주민 위협<br/>각종 부유물 유입 녹조·악취 발생<br/>안동시 우회 농로 확보 작업 진행
안동댐의 저수율이 88.3%를 넘으면서 댐 주변 주민들의 침수 피해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한국수자원공사 안동권지사에 따르면 현재 저수량은 11억200만t에 저수율은 88.3%다. 수위도 해발 158.22m로 예년 평균 150m보다 8m이상 높다. 이는 1976년 댐이 축조된 이후 역대 두 번째로 수위가 158m가 넘은 것은 24년 만이다.


댐 건설 이후 가장 높았던 수위는 2002년 태풍 루사 때였다. 당시 해발 159.91m 수위로 역대급 기록을 남겼다. 이후 2011년 7월 장마로 수위가 한때 155.75m까지 오르기도 했다. 안동댐은 해발 161.7m까지 총 12억5000만t을 저장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들어 9월 현재까지 낙동강 상류 안동댐 유역 강우량은 예년 1021mm 보다 1.5배 높은 1581㎜를 기록한데다 수자원공사가 2024년 가뭄을 대비해 댐에 물을 가두면서 저수율이 급격히 올라간 것으로 보인다.


이 기간 대구·경북의 전체 강수량은 930.7㎜로 평년 608.7㎜ 보다 322㎜가량 더 많았다. 1973년 관측을 시작한 이래 두 번째다. 장마철(지난 6월25일부터 7월26일까지) 대구·경북 강수량은 560㎜로 이 역시 역대 두 번째다.


문제는 수자원공사가 댐에 물을 계속 가두면서 댐 주변에 거주하거나 농업과 어업에 종사하는 주민들에게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는 점이다. 일부 주민은 불어난 물어 생명에 위협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불어난 물이 삼림지역까지 침투하면 각종 부유물이 그대로 호수 안에 유입되고 있어 녹조 발생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


임하면 노산리 주민 장모(58)씨는 “장마철이나 태풍이 아닌 평상시에 댐 수위가 이렇게 높아 진 것은 처음 있는 일”이라며 “농경지 침수 등 피해를 입히고 있지만 수자원공사는 수문도 열지 않고 아무런 대책도 마련해 주지 않고 있다. 우리 밭으로 들어가는 진입로도 물에 잠겨 현재 갈 수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산 중턱까지 물이 차올라 댐 골짜기마다 각종 부유물이 가득해 악취까지 풍기고 있다”며 “당국이 가뭄 대비 차원이라는 명분으로 물을 가두어도 정도껏 해야지, 너무 심하다”고 말했다.


수자원공사 관계자는 “월별 계획된 방류량에 따라 방류하고 있지만 워낙 많은 수량이 댐으로 유입되다 보니 방류량보다 저수되는 양이 더 많아서 이 같은 결과가 나온 것 같다”며 “올해 홍수기가 끝났다고 판단하고 있어 댐 수위는 지속해서 낮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 댐 상류 농경지 진입로에 대한 침수 민원 두건이 접수됐고, 다른 피해에 대해서도 파악 중에 있다”며 “발전방류를 지속해 댐 수위를 낮추고 피해가 발생한 지역에 대해서는 복구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안동시는 지난 14일부터 노산리 등 댐 수변지역 농가의 농로 침수 등 댐 수위 관련 민원이 잇따르자 현재 포클레인 등 중장비를 동원해 우회 농로를 확보해주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