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녹슨 가위

등록일 2023-08-30 18:33 게재일 2023-08-31 18면
스크랩버튼
이정옥위덕대 명예교수
이정옥 위덕대 명예교수

나이가 드니까 뭐든 편한 게 좋다. 좋은 쪽으로 생각하면 까탈스러운 것이 없어지고 유연해졌다고 할 수 있고, 그 반대로 생각하면 매사 좀 귀찮아졌을 수도 있겠다. 사람과의 사이도 그렇다. 무던해졌다. 한창 혈기왕성할 땐 규칙어기는 걸 용납하지 않았다. 내 기준의 상식에서 조금이라도 거슬린다 싶으면 가차없이 따지던 성깔도 엔간했다. 그 때문에 바른 말이랍시고 해서 고초를 겪은 일도 있었다. 지금 생각해도 등줄기에 땀이 흐른다. 이젠 느긋해졌다. 누가 뭐라고 해도 그래 그럴 수도 있지 하고 만다. 어머 내가 웬일이지? 스스로 느끼며 놀라기도 한다. 물론 절대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어 지금도 있어 괴로울 때도 있지만 어쩌랴 싶어할 뿐이다.

옷입음새도 그렇다. 키도 작고 균형 없는 몸매에 어울리는 옷이 있으랴만 편한 옷을 좋아하는 내 취향까지 있다. 하지만 사회생활을 하는 한 TPO에 맞게 입어야 한다는 것쯤은 알고 있어 나름 노력해왔다. 목적에 맞게 색상과 모양까지 신경써 입었다. 애쓰고 돈도 들였다.

그러나 이젠 더 이상 옷에 대해 애쓰지 않아도 되는 신세가 되자 내 취향껏 편안함을 추구하고 즐긴다. 집에서는 더하다. 언젠가부터 목덜미에 뭔가 거치적거리는 옷이 불편했다. 되도록 목 주위가 휑하니 드러나는 옷만 찾았다. 꺼내입는 옷들이 맨날 그 옷이 그 옷이다. 티셔츠들이 많아 아무거나 꺼내 입다가도 목이 좀 죈다 싶으면 곧장 다시 벗게 된다. 이 많은 티셔츠를 입지도 않고 버려야 하나. 새로 사지 않아도 입을 수는 없을까 고민하고 궁리했다. 목덜미 부분을 가위로 오려내어 넓힐까. 박음질하지 않은 것을 멋으로 만든 옷도 있지 않은가. 정 안되면 감침질을 해서라도 입을 수 없을까 생각했다. 하고많은 시간도 있겠다. 한 번 시도해보자. 즐겨입었던 면티셔츠를 몇 개 꺼냈다. 둥근 목테두리를 전부 오려내어서 손바느질로 감치기엔 좀 힘들려나 싶었다. 만지작거린 끝에 앞섶 부분을 세모 모양으로 깊게 오려내고 그 부분만 감침질하면 수월하겠다는 궁리가 섰다.

까짓 하다가 안되면 말 일. 뭐 시도해보자 싶어 반짇고리를 찾았다. 예전에 애들이 어릴 땐 늘 썼고, 또 남편의 흰 셔츠 단추를 달거나 바짓단을 공그르기하면서 자주 사용하던 반짇고리였다. 그러나 최근엔 쓸 일이 별로 없었다. 열어보니 색색가지 실, 아이들 돌이며 백일날 시어머니가 만들어주신 흰 실꾸리 두 개, 올망졸망 여러 가지 단추통도 뚜껑이 열린 채로 있었다.

크고작은 바늘이 꽂힌 동그란 바늘꽂이. 그 가운데 유난히 커다랗고 녹슨 가위가 자리잡고 있다. 여러 자질구레한 바느질공구들과는 어울리지 않게 큰 무쇠가위는 엄마, 돌아가신 엄마의 가위였다. 요즘엔 스테인리스 가위에 손잡이 부분도 플라스틱으로 예쁘고도 사용하기 편한 가위들이 얼마나 흔한가. 그와는 달리 무겁고 불그스레 녹까지 슬어 볼품없는 엄마의 가위. 언제부터 나의 반짇고리에 들어있었는지 생각도 나지 않는 엄마의 가위. 내 열 살 무렵부터 기울어진 가세 탓에 삯바느질로 가정을 지탱했던 엄마가 무겁게 무겁게 썼을 가위였다. 엄마의 온기가 밴 가위는 녹슬어도 썩 잘 들었다. 나는 이 가위만큼이라도 엄마의 말을 잘 듣는 딸이었을까.

이정옥의 신황금기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