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에 눈을 뜨니 어지럽고 메스껍다. 바로 일어나지 않고 잠시 앉아 있다가 끙차 손으로 바닥을 짚고 일어나도 바로 다시 주저앉는다. 한창 더울 때라 더위 먹었나? 도로 누웠다. 깨질 듯이 아픈 머리를 감싼 채로 한참을 엎드렸다. 난 아픈 신호가 항상 두통으로 온다. 그걸 아는 남편이었다. 바로 병원에 가자며 일으켜 세웠다. 가까운 내과에 갔다. 증상을 얘기하자 의사가 묻는다. 무리하셨어요? 그럴 일이 없다고 대답하면서 진료를 받고 링거도 맞았다. 이틀 분의 약을 지어주면서 안정하란다. 며칠 후에도 나을 기미가 없자 이석증인 듯하여 오희종신경과엘 갔다. 지난주의 일이었다.
무리하셨어요? 참 오랜만에 듣는 말이다. 2005년 여름, 이때쯤이었다. 며칠째 밤을 새우며 논문을 썼다. 창밖이 푸르스름하게 희붐해질 쯤에야 컴퓨터 모니터를 껐다. 기지개를 크게 켜며 의자에서 일어나자 바로 쓰러졌던가 보았다. 새벽녘에 화장실을 나온 남편이 화들짝 크게 놀랐다. 응급실로 가서 뇌사진을 찍는 등 온갖 검사를 하며 호들갑을 떨었으나 큰 병이 아니라고 했다. 전정기관의 이상이 의심되나 별 치료 방법이 없다며 집에서 안정하란다. 몸을 가누기 힘들 정도로 하늘이 뱅그르르 도는데도 그저 누워있을 뿐이었다. 며칠 후 남편이 용한 병원을 알았다며 데리고 갔다. 오희종신경과였다. 의사는 무리하셨어요?라고 물었고 나는 며칠밤을 샜다고 실토했다. 이석증이라는 병명을 처음 들었다. 신이하고 꼼꼼한 치료로 어지러움은 금세 말끔히 나았다. 깨끗해진 머리 덕에 신나게 운전하여 학교엘 갔다. 며칠만에 또 도졌다. 쉬라는 의사의 말을 듣지 않은 대가를 톡톡히 치렀다.
또 한번은 2012년 겨울, 연말이었다. 입시며, 성적이며 한창 정신없을 때였다. 며칠째 열나고 오한이 들었지만 약을 지어 먹으면 낫길래 무시하였다. 어느 날 한밤중 이를 딱딱 마주치는 사정없는 오한에 정신을 잃었다. 식구들이 혼비백산, 응급실로 날랐다. 치료를 받으면 나았다. 낮엔 일상생활을 했고 밤이 되면 또 열에 들떠 응급실을 들락거렸다. 외래진료를 받으라고 했으나 처리할 일이 태산이라 의사의 말을 듣지 않았다. 학교의 급한 불을 끈 뒤 퇴근길에 내 발로 느긋하게 병원을 찾았다. 당장 입원하라는 의사의 호통이 매서웠다. 며칠 새 병을 크게 키웠고 신장 수술할 수도 있다고 했다. 2주간 입원했으나 호전되지 않자 종합병원으로 옮겼다. 그제야 내 몸 돌보지 않은 후회를 했다. 다행히 수술은 하지 않았다. 병소(病巢)는 남아 있으니 조심하라는 당부를 들었다. 그때 역시 의사의 첫 문진은 무리하셨어요?였다.
일 욕심이 많긴 했다. 한창 일할 때는 다소 무리했음을 부인하진 못하겠다. 그러나 이제, 은퇴 후 이렇게 느긋하게 놀고 있는데 무리라니 어이가 없다. 일주일에 3일 손녀 유치원 등하원 도와주기. 일주일에 한 시간 자원봉사와 두 시간 영화공부하기. 주말에 모두의 집에 가서 풀 뽑고 텃밭 가꾸기. 병든 강아지 수발들기 정도가 일상의 전부다. 최근 일주일 두 시간 서예공부 시작으로 기분좋은 흥분에 마냥 들떠 있는데 이게 어찌 무리인가. 몸이 쾌청하지 않으니 별 서운한 생각이 다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