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북도, 효과적 일자리 정책 빛 봤다

피현진기자
등록일 2023-08-02 20:04 게재일 2023-08-03 2면
스크랩버튼
‘전국 지자체 일자리 대상’서<br/> 공시제 대상·우수사업 최우수 <br/> 전국 최초로 동시 수상 ‘쾌거’<br/> 생활경제권 중심 일자리 전략<br/>‘고용창출’ 뚜렷한 성과 과시
경북도는 고용노동부 주관 ‘2023년 전국지방자치단체 일자리대상’에서 공시제 분야 광역, 기초지자체 통합 전체 1위인 종합대상과 우수사업 분야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경북도 제공

경북도가 고용노동부에서 주관하는 ‘2023년 전국지방자치단체 일자리대상’에서 공시제 분야 광역, 기초지자체 통합 전체 1위인 종합대상과 우수사업 분야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2일 경북도에 따르면 고용노동부가 지자체의 일자리 창출 노력을 알리고, 지역 일자리 관심도 제고를 위해 2012년부터 개최하고 있는 전국지방자치단체 일자리 대상에서 경북도가 공시제 부문 종합대상과 우수사업 부문 최우수상을 함께 받은 첫 지자체가 됐다.


이는 경북이 추진하고 있는 일자리 정책이 전국적으로 인정받은 성과로, 경북도는 산업과 노동 전환 시대에 대비해 지역 경쟁력과 고용 성과를 높여야 할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지역과 대상별 특성을 반영한 차별화된 일자리 전략인 ‘생활경제권 중심 일자리 전략을 추진, 지방소멸, 청년 유출 방지 등 지역의 시급한 현안 해결을 위해 주력산업과 미래 전략산업을 연계한 현장 중심의 일자리 사업을 정부 일자리 공모사업 및 자체 사업을 연계해 시행했다.


이러한 전략으로 경북도는 지난해 취업자 수 증가율이 146만2천 명으로 2021년 대비 5만2천 명(3.7%) 증가, 고용률은 62.9%로 1.9%p 상승했다. 이는 수도권을 제외하고 역대 가장 가장 높은 수준으로, 경북도가 추진하고 있는 일자리 정책이 뚜렷한 고용 창출로 나타난다는 평가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이철우 지사는 취임 이래 공직자의 전문성과 실적주의를 강조하는 등 일자리 정책 추진에 대한 행정적 지원 기반 마련과 고용부를 비롯한 지역대학, 국책 연구기관, 일자리 수행기관 등과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구축, 중장기 고용전략을 마련했다. 이 과정에서 일자리 사각지대를 보완하기 위한 자체 기획사업을 추진하는 등 지역 여건에 맞는 생활경제권 일자리 패키지 지원정책을 펼쳤다.


여기에 미래 먹거리 산업 육성으로 미래 일자리 확대 기반을 조성하고 있다. 산업용 헴프 규제자유특구, 배터리 규제자유특구 지정 및 글로벌 백신산업 클러스터 조성 등 성장잠재력이 있는 미래 산업 육성에 앞장서고 있으며 로봇, 미래자동차, 바이오, AI 등 미래 신성장 산업에 대응한 인력양성과 공격적인 국내외 투자유치 활동으로 10조 규모 투자 달성과 1만2천개 일자리 창출 성과를 이끌었다.


인구감소와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한 경북도의 특별한 일자리 정책도 눈길을 끌고 있다.


의성군 안계면에 위치한 이웃사촌 시범마을은 청년특화거리, 주거 공간 조성 등 인프라 구축과 지역 정착 프로그램을 동시에 지원해 농촌 혁신성장의 전국적 모델로 성장했으며, 현재 영천시와 영덕군에 확대 조성하고 있다.


이철우 지사는 “지역 일자리 활성화가 지방시대를 이끌어 가는 힘”이라며 “그간의 일자리 성과를 널리 인정받은 경북도가 대한민국 일자리 중심으로 일자리 정책이 좋은 영향력을 펼칠 수 있도록 계속해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